불광법회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단체
고광덕이 불광회를 모태로 1975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각사에서 창립한 불교 신행 단체.
단체
설립 시기
1975년 10월 16일
설립자
고광덕(高光德)
설립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재지
서울특별시 송파구
발간지
월간 불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불광법회는 고광덕이 불광회를 모태로 1975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각사에서 창립한 불교신행단체이다. 법등(法燈)을 전법모임의 기초단위로 하는데 이 법등이 모인 구법회(求法會)를 통해서 법등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법등운동을 위하여 법등가족들의 일정을 파악하고 가능한 많이 모일 수 있는 일시와 장소를 정해서 법회를 한다.

목차
정의
고광덕이 불광회를 모태로 1975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대각사에서 창립한 불교 신행 단체.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http://www.bulkwangsa.org/beobhoi/1-1
주석
주1

교법(敎法)의 계통을 전하여 줌. 우리말샘

주2

법신불 전에 오롯이 공도에 힘써 원불교에 헌신할 것을 맹세하는 일. 우리말샘

주3

괴로움이 많은 인간 세계. 석가모니불이 교화하는 세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4

석가모니의 공덕을 기리는 노래. 그 원형은 무량수경 따위에 나온다. 우리말샘

주5

중요한 점. 우리말샘

주6

뜻을 받들어 행하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