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대문 ()

목차
관련 정보
서대문 전경
서대문 전경
건축
개념
조선시대 도성에서 정동의 흥인지문, 정서의 돈의문, 정남의 숭례문, 정북의 숙청문(1523년 이후 숙정문으로 개칭) 등 4개 성문.
내용 요약

사대문은 조선 시대 도성의 흥인지문, 돈의문, 숭례문, 숙청문(1523년 이후 숙정문으로 개칭) 등 4개 성문이다. 흥인지문은 동대문으로 태조 때 건설되었다. 현판은 동쪽을 나타내는 ‘인(仁)’ 자에 땅의 기운을 돋우기 위해 ‘흥(興)’ 자를 넣었다. 돈의문은 일제에 의해 철거되었다. 숭례문, 즉 남대문은 도성의 정문으로 도성 8문 가운데 가장 웅장하다. 현판은 양녕대군의 글씨로 되어 있다. 숙청문은 소문의 규모를 따랐으며 오랫동안 문루를 갖추지 못했다. 통행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았고 중종 이후 기록에는 ‘숙정문’으로 나타난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도성에서 정동의 흥인지문, 정서의 돈의문, 정남의 숭례문, 정북의 숙청문(1523년 이후 숙정문으로 개칭) 등 4개 성문.
내용

흥인지문태조 때 도성을 주1하면서 건설되었는데, 1396년(태조 5) 1차 축성 때 경상도 안동과 성주 사람들이 동원되어 동대문 일대의 축성 공사를 하였으나 완성하지 못하고 이듬해 4월에 완공되었다. 이어 1451년(문종 1)에 중수를 시작하여 1453년(단종 1)에 끝냈다. 이 문의 현판은 오행(五行)의 동쪽을 나타내는 인(仁)을 포함하며, 동대문 일대가 서울 도성 안에서 가장 낮은 지역으로 바로 남쪽에 청계천이 흐르고 있으므로, 땅의 기운을 돋우기 위해 흥인지문(興仁之門)이라고 ‘之’자를 보강하였다고 한다.

동대문의 중층 누각은 1869년(고종 6)에 새로 지은 것인데, 조선왕조 말기의 대표적인 목조 건물로 건축양식의 시대적 변천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흥인문은 주위 지형의 열악한 조건을 보완하고자 옹성(甕城 : 성문의 앞을 가리어 적으로부터 방어하는 작은 성)을 두른 것이 특징이다. 이 옹성은 문 앞쪽에 반달 모양으로 둥글게 축성되어 옹성 안에 들어온 적을 앞뒤에서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임진왜란 때 왜적이 가장 먼저 입성하였다.

돈의문은 도성의 2차 공사가 끝나면서 다른 성문과 함께 건축되었다. 처음에는 경희궁 서쪽 언덕 지점에 위치하여 서전문(西箭門)이라 불리었다. 그러다가 1422년(세종 4) 2월에 도성을 고쳐 쌓게 되면서 서전문을 헐고 그보다 남쪽 지점에 새로 돈의문을 세웠다. 이후로 돈의문은 통칭 ‘새문[新門]’이라 불리게 되었다. 돈의문은 의주(義州) 국도의 관문으로 황해도와 평안도를 거쳐 중국으로 통하였다.

일제에 의해 철거되어 볼 수 없지만 지금의 신문로 큰길과 정동에서 평동으로 통하는 길이 교차하는 마루턱에 위치하였다. 이괄(李适)의 난을미사변에 관련된 역사의 현장이기도 하다. 돈의문의 현판은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글씨는 1711년(숙종 37)에 조윤덕(曺潤德)이 썼고 1749년(영조 25)에 영건소에서 개조했다고 뒷면에 음각되어있다.

숭례문은 도성의 정문으로 청계천과 만초천(蔓草川)을 가르는 언덕에 세워져 있다. 도성 8문 가운데 가장 웅장하고 규모가 크며 서울의 얼굴 구실을 하였다. 남대문의 건축은 홍예(虹霓)와 문루 등 그 구조에 특별히 유의하였는데 1396년에 시작하여 1398년(태조 7) 2월에 이르러 완성을 보게 되었다.

1448년(세종 30) 숭례문의 지대를 높여 남산인왕산의 지맥을 연결시켜 경복궁을 아늑하게 껴안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주2과 당시의 여론에 따라 다시 건축하였다. 이때의 숭례문이 오늘에 전하는 것인데 1479년(성종 10)에 중수되었다. 한편 1962년 개수 공사 때 세종성종 때 개축 또는 중수한 상량문이 발견되었다.

숭례문의 현판은 양녕대군(讓寧大君)의 글씨로 전하는데, 다른 도성문과 다르게 횡액(橫額)이 아니라 종액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오행사상에 따른 것으로 ‘예(禮)’자는 오행의 화(火)에 해당하는 글자인 까닭에 불이 타오르는 형상에 따라 세워서 달았다고 한다. 그리고 한양의 조산(朝山)인 한강 건너의 관악산이 오행의 화산에 해당되어 그 불기운이 도성을 범접하게 되므로 숭례문의 현판을 세워 맞불로 도성을 보호하고자 했다는 전설이 있다.

숙청문은 한양의 주산(主山)인 북악의 동쪽 마루턱에 위치하였으나 그 규모는 대문의 형식을 갖추지 못하고 소문(小門)의 규모를 따랐으며 오랫동안 문루마저 갖추지 못하였다. 숙청문의 원래 자리는 지금 자리의 약간 서쪽에 위치하였었다가 1504년(연산군 10)에 옮겨졌다. 숙청문은 풍수지리설에 따라 1413년(태종 13)에 폐문되었는데, 즉 북쪽은 음(陰)에 해당되어 이 문을 열어 놓으면 음기가 번성하여 도성 안의 부녀자들이 놀아나 풍기가 어지러워지기 때문에 문을 꼭꼭 닫아둔다고 하였다.

숙청문은 위치상 통행에는 거의 이용되지 않았고, 단지 장마가 지면 비 그치기를 기원하는 영제(禜祭), 즉 기청제(祈晴祭)를 여기에서 거행하였다. 또 예종 때부터는 가뭄이 들면 양기가 많은 남대문을 닫고 음기 서린 북대문을 열어 비를 기원하는 기우제를 지냈다. 숙청문은 중종 이후 모든 기록에 ‘숙정문(肅靖門)’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현재 새로 복원한 문루에도 ‘肅靖門’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참고문헌

『태조실록』
『세종실록』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국여지비고』
『한경식략(漢京識略)』
『궁궐지(宮闕志)』
『서울특별시사』-고적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3)
『서울육백년사』 1-문화사적편-(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77·1987)
『서울성곽』(서울특별시, 1976)
『서울육백년』(김영상, 대학당, 1994)
주석
주1

집이나 다리, 방죽 따위의 헐어진 곳을 고쳐 짓거나 보수함.    우리말샘

주2

지형이나 방위를 인간의 길흉화복과 연결시켜, 죽은 사람을 묻거나 집을 짓는 데 알맞은 장소를 구하는 이론.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4)
집필자
나각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