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동관 ()

목차
조선시대사
제도
고려 · 조선시대 과거에서 역서법(易書法)을 채용함에 따라 수험생이 제출한 답안의 주초(朱草 : 본초를 베낀 답안)를 확인하던 관원.
목차
정의
고려 · 조선시대 과거에서 역서법(易書法)을 채용함에 따라 수험생이 제출한 답안의 주초(朱草 : 본초를 베낀 답안)를 확인하던 관원.
내용

역서법은 고려 공민왕 18년(1369)에 이색(李穡)이 지공거(知貢擧)를 맡아 처음 실시하였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문과의 식년시·증광시·별시·정시에서 제술 시험의 답안에만 적용하였다.

과거 응시생들이 시권(試券)을 수권관(收券官)에게 제출하면, 수권관은 등록관(謄錄官)에게 넘긴다. 등록관은 이들 시권의 처음과 끝에 일련 번호를 매기고 또 감합(堪合)이라고 쓴 뒤, 봉명(封名) 부분과 답안 부분을 절단한다.

봉명이란 응시자가 시험 전에 자기가 쓸 시지(試紙)를 구입해 자신의 관직·성명·나이·본관·주소, 아버지·할아버지·증조부의 관직 및 이름, 외할아버지의 관직·성명·본관을 다섯줄에 걸쳐 쓴 뒤 그 위에 풀로 종이를 붙여 보이지 않도록 봉한 부분으로서 피봉(皮封) 또는 비봉(秘封)이라고도 하였다.

이 봉명 부분을 봉미관(封彌官)이 받아 별도의 장소에서 기다리는 동안, 등록관은 30∼50인의 서사인(書寫人)을 동원, 답안을 붉은 글씨로 베끼게 하였다. 이 때 응시자가 쓴 본래의 답안을 본초(本草), 베낀 답안을 주초(朱草)라 하며, 주초할 때 농간을 부린 것이 탄로나면 유삼천리(流三千里)의 형에 처해졌다.

역서가 끝난 본초와 주초가 사동관과 지동관(枝同官)에게 넘겨지면, 사동관은 본초를 소리내어 읽었다. 그리고 지동관은 주초를 보면서 잘못 베낀 데가 없는지 확인한 뒤, 주초만 시관(試官)에게 보내 채점하도록 하였다.

시관이 채점 도중 주초의 내용에 혹 잘못 베끼지 않았나 하는 의심이 가는 곳이 있어 부득이 대조·확인해야 할 경우는 반드시 공개된 장소에서 사헌부 관원의 입회 하에 행해야 하였다. 정시(庭試) 및 전시(殿試)의 경우는 사동관과 지동관에게 다시 확인하도록 한 다음, 채점하였다.

사동관·지동관은 성균관 관원 중에서 차출하도록 했는데, 1835년(헌종 1) 역서법의 폐지와 함께 그 임무도 없어졌다.

참고문헌

『헌종실록(憲宗實錄)』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대전회통(大典會通)』
『용재총화(慵齋叢話)』
「봉미(封彌)·역서고(易書攷)」상(조좌호, 『대동문화연구(大東文化硏究)』12, 1976)
집필자
박연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