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불산 ()

목차
불교
유적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에 있는 불교 유적 관련 산.
이칭
이칭
공덕산(功德山)
목차
정의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에 있는 불교 유적 관련 산.
내용

공덕산(功德山)이라고도 한다. 587년(진평왕 9) 사방에 여래상(如來像)을 새기고 붉은 비단으로 싼 사방이 열자나 되는 큰 돌이 하늘로부터 죽령(竹嶺) 동쪽 100리쯤에 있는 산꼭대기에 떨어졌다.

왕이 이를 듣고 가서 예배한 뒤 그 바위 한쪽에 대승사(大乘寺)를 개창하고 『법화경』을 독송하는 승려를 청하여 이 절을 맡겨 향화를 그치지 않게 하였는데, 이로 인해 산 이름을 사불산이라고 하였다. 뒤에 그 승려가 죽어 장사지냈더니 무덤 위에 연꽃이 피었다고 한다.

이 산은 3개의 봉우리로 되어 있는데, 주봉 서쪽에는 대승사, 동봉에는 천주사(天柱寺), 중봉에는 백련사(白蓮寺)가 있다. 13세기 중엽까지 백련사에 의상(義湘)이 쓰던 종려로 만든 삿갓 및 육환장이 있었고, 옛 건물에는 원효(元曉)와 의상의 영정이 봉안되어 있기도 하였다. 의상은 이 산에 백련사를 창건하여 주석하고, 원효는 화장사(華藏寺)를 지어 살면서 조석으로 만났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반야암(般若庵)·상적암(上寂庵)·대비암(大妃庵)·묘봉암(妙峯庵)·윤필암(潤筆庵)·문수암(文殊庵)·보현암(普賢庵)·사불암(四佛庵)·미륵암(彌勒庵) 등의 암자가 있었으며 신라 이래로 원효·의상·나옹(懶翁)·무학(無學)·함허(涵虛) 등의 고승이 머물기도 했었다.

참고문헌

『삼국유사(三國遺事)』
『동문선(東文選)』
『대승사지해제(大乘寺誌解題)』(이지관, 대승사지, 아세아문화사, 1982)
집필자
김상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