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총 ()

목차
관련 정보
평안남도 대동군 호남리 사신총 정면
평안남도 대동군 호남리 사신총 정면
고대사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삼석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신도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북한문화재.
이칭
이칭
호남리사신총, 호남리사신무덤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삼석구역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사신도 관련 벽화무덤. 횡혈식석실분. 북한문화재.
개설

사신총은 1916년에 조사되었으며 ‘호남리사신총’ ‘호남리사신무덤’으로도 불린다. 이 고분은 호남마을 뒤 얕은 구릉 위에 자리잡은 호남리고분군에 속해 있으며 돌방무덤〔封土石室墳〕의 하나이다. 현재 북한 국보 제2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2004년에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바 있다.

내용

고분의 구성은 널길·널방으로 구성되어 있고, 널문〔羨門〕이 남벽 중앙에 달린 방선형(方扇形) 외방무덤(單室墓)이다. 천장은 평행삼각고임이다. 무덤의 방향은 남향으로 널길의 길이와 폭은 각각 2.5m, 1.3m이고 널방의 길이는 3.6m, 너비 3.1m, 높이 3m이다.

잘 다듬은 대리석으로 무덤칸을 짓고 벽과 천장고임의 판석 틈 사이를 회로 메웠다. 벽화는 돌 위에 직접 그렸다. 1916년 발견 당시 천장부에 있는 벽화는 탈락되어 알 수 없었으나 주벽(主壁)에는 사신도가 그려져 있었다.

사신도는 독특한 필력으로 처리되었는데 대부분의 벽화고분과 마찬가지로 사신총 역시 널방 안에는 거의 아무런 유물도 남아 있지 않았다. 널방 남벽의 암수 주작은 널방 문을 사이에 두고 두 날개를 편 채 마주보며 서 있다. 다른 고분의 주작과 달리 머리에 별다른 깃 장식이 없고 과장된 부리를 지니고 있지도 않으며 꽁지깃도 비교적 단순하다.

동벽의 청룡은 가만히 서서 고개를 돌려 자신의 꼬리부분을 바라보는 자세다. 외뿔이며 과장된 눈썹을 지니지 않았고 목 뒤로 척목(尺木)이 표현되지 않은 점 등이 다르다. 서벽의 백호도 청룡처럼 가만히 서서 고개를 돌려 자신의 꼬리부분을 바라보는 자세다. 측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반대편의 눈과 귀를 표현하면서 이루어내는 백호의 과장된 얼굴묘사는 전형적인 사신도벽화로 이행하는 단계의 과도기적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북벽 현무의 뱀은 거북의 머리쪽을 향하여 몸을 기울이는 대신 몸을 세워 약간 뒤로 제낀 채 머리를 비스듬히 들어 눈을 허공으로 향한다. 마주 보아야 할 뱀과 거북의 머리는 사실상 서로를 외면하고 있다. 뱀과 거북의 이런 자세는 다른 고분벽화의 현무에서는 볼 수 없는 것으로 자웅상응이라는 현무의 표현원칙과는 맞지 않는다. 널방 천장고임과 천장돌에는 벽화가 남아 있지 않다.

의의와 평가

사신총은 큰 돌의 사용, 석면(石面)상의 직접작화(直接作畵), 기둥소멸, 주벽사신도(主壁四神圖) 등 지금까지의 고분벽화들과는 차별화된 새 단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후기 사신도시대의 개막을 알려주는 지표가 되었다.

고구려의 70여기에 가까운 고분벽화 가운데 이 사신총은 흰 대리석 벽면에 사신만이 그려져 있을 뿐 다른 장식무늬가 없는 독특한 무덤이다. 화법이 고졸(古拙)하고 사신의 형태도 고식(古式)이며, 인동문(忍冬文)이 아직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고분이 사신도분(四神圖墳)이더라도 그 축조연대는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의 이른 시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고분은 유물이 거의 남아 있지 않고 묵서명도 발견되지 않아 피장된 주인공이 누구인지 확실치 않다. 하지만 호남리고분군에서 사신총이 차지하는 위상이나 사신총의 고분벽화를 통해서 이 무덤이 왕이나 왕족의 무덤이었을 개연성이 있다. 특히 559년에서 589년까지 재위한 고구려평원왕이나 590년에서 617년까지 재위한 영양왕의 무덤으로 보는 견해가 제기되어 있어 주목된다.

참고문헌

『고구려 유적의 어제와 오늘-고분과 유물-』(동북아역사재단, 2009)
『한국벽화고분』(김원룡, 일지사, 1980)
『한국고고학개설』(김원룡, 일지사, 1973)
집필자
김선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