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고덕동 유적 (서울 )

선사문화
유적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구석기시대 석기, 청동기시대 집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건물지와 무덤 등이 조사된 복합취락유적.
유적
건립 시기
구석기시대~조선시대
소재지
서울특별시 강동구
내용 요약

서울고덕동유적은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구석기시대 석기, 청동기시대 집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건물지와 무덤 등이 조사된 복합취락유적이다. 서울특별시 강동구 선사로-고덕지구 간 도로 확장을 위한 포장 공사에 앞서 4개 지점에 대한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전 구역에 걸쳐 구석기시대 유적과 유물이 확인되었으며, 청동기시대 집터와 구멍무늬토기가 조사되었다. 더불어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건물지와 집터, 구덩이 등의 생활 유구와 돌방무덤, 구덩무덤, 회곽무덤 등의 분묘가 다수 확인되었다.

정의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구석기시대 석기, 청동기시대 집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건물지와 무덤 등이 조사된 복합취락유적.
발굴경위 및 결과

서울특별시 강동구 선사로-고덕지구 간 도로 확장을 위한 포장 공사에 앞서 2009~2010년 걸쳐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조사는 모두 4개 지점으로 구분하여 실시되었다.

A구역에서는 고려~조선시대 널무덤, 회곽무덤, 구덩이 등이 조사되었고, B구역에서는 고려~조선시대 초석 건물지, 집터, 구덩무덤, 회곽무덤 등이 확인되었다. C구역에서는 고려~조선시대 건물지와 움집 자리, 구덩이, 돌방무덤, 회곽무덤, 구덩무덤이 발굴되었고 D구역에서는 청동기시대 움집 자리, 고려~조선시대 구덩무덤과 회곽무덤, 구덩이 등이 조사되었다. 그리고 전 구역에서 구석기시대 토양 쐐기층과 석기가 확인되었다.

형태와 특징

조사 지역은 한강변 동쪽 5㎞ 내에 자리하며, 사적 제267호 암사동선사유적지 주변에 해당한다. 주변으로 넓은 충적지와 해발 35~80m의 낮은 언덕땅이 곳곳에 형성되어 있다. 조사 대상지 주변은 선사시대 생활 근거지로 이용되었고 고대에는 삼국 간의 격전지가 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광주목으로 개편되었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광주부로 승격되었는데 고려~조선시대에 걸쳐 이 일대 많은 취락이 형성 · 발전했던 것으로 보인다.

의의 및 평가

서울고덕동유적(서울高德洞遺蹟)에서는 구석기시대, 청동기시대, 고려~조선시대 유구가 확인되었다. 구석기시대 유적에서는 주먹도끼, 찍개, 긁개, 칼형도끼, 몸돌, 격지 등 총 45점의 구석기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서울특별시에서 본격적 발굴을 통해 조사된 최초의 구석기시대 유적이라는 점에서 학사적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청동기시대 집터는 5기가 조사되었는데 주1가 출토되는 이른바 역삼동 유형에 속한다. 집터 구조와 유물, 주2을 종합해 볼 때 중부 지역의 구멍무늬토기 문화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고려~조선시대에 걸치는 건물지와 집터, 무덤 그리고 100여 점의 백자(白瓷) 명기는 이 시대 생활사 연구에 일조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단행본

김장석, 성춘택, 황재훈, 허진아, 이홍주, 민경인, 김동국, 김용갑, 구혜영, 박지웅, 최문종, 노범준, 『서울 고덕동 유적』(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2012)
주석
주1

아가리 바로 밑에 작은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돌아가면서 나 있는 토기. 청동기 시대에 가장 유행하였던 민무늬 토기이다.    우리말샘

주2

탄소의 방사성 동위 원소에 의하여 절대 연령이나 연대를 재는 방법. 생물이 죽으면 이산화 탄소의 결합이 끊겨 사체(死體) 속의 탄소 14가 일정한 반감기로 계속 줄어들기 때문에 시료 속의 탄소 14의 양을 근거로 그 생물이 살았던 연대를 추정할 수 있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