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희문 ()

고전시가
인물
조선후기 은거한정을 노래한 음악인.
이칭
명유(明裕)
인물/전통 인물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은거한정을 노래한 음악인.
생애 및 활동사항

조선 정조 때의 사람인 듯하다. 자는 명유(明裕). ‘우조이삭대엽’조의 시조 8수와 ‘계면조(界面調)이삭대엽’조의 시조 6수가 『청구영언』(대학본)에, 다른 시조 1수가 『가곡원류』(증보본)에 각각 전한다.

‘자황분경(雌黃奔競)ᄒᆞᄆᆡ ᄯᅥᆯ치고 고원(故園)의 오니’ ‘진세(塵世)ᄅᆞᆯ ᄯᅥᆯ치고 죽장(竹杖)을 훗ᄯᅥ집고’ ‘찰하로 강산(江山)에 물너와셔 이종요년(以終夭年) ᄒᆞ리라’ ‘세사(世事)를 후리치고 산당(山堂)으로 도라오니’ 등의 작품 내용으로 보아 산수간에 은거하였을 것이다.

‘탁주반호(濁酒半壺)의 청금횡상(淸琴橫床) ᄲᅮᆫ이로다’, ‘슐을 ᄂᆡ아 더야 광약(狂藥)인쥴 알것마는 잔(盞) ○아 우음나니 일배일배부일배(一杯一杯復一杯)라 유령(劉伶)이 이러험으로 장취불성(長醉不醒)ᄒᆞ니라’, ‘뵈ᄌᆞᆷ방이 호뮈메고 논밧가라 기음ᄆᆡ고 농가(農歌)을 부로며 달을 ᄯᅴ여 도라오니 지어미 슐을 거르며 내일(來日) 뒷밧ᄆᆡ옵세 ᄒᆞ더라’, ‘소쇄(瀟洒)ᄒᆞᆫ 수변정자(水邊亭子)의 대월음풍(待月吟風) ᄒᆞ리라’ 등의 작품 내용으로 보아 술을 좋아하고 농경하며 자적(自適)하던 은사(隱士)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청구영언(靑丘永言)』(대학본)
『청구영언연구(靑丘永言硏究)』(황순구, 백산출판사, 199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