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렬옥소삼봉 ()

목차
관련 정보
쌍열옥소삼봉
쌍열옥소삼봉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1책. 국문 필사본. 군왕에 대한 절개를 주제로 한 윤리소설이다. 이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명나라의 개국공신 위현과 그의 다섯 아들은 태종황제를 섬기며, 위공은 황제의 넷째 아들인 연왕의 스승이 된다. 위공은 연왕을 친자식 같이 사랑하고, 연왕도 위공의 자제들과 형제와 같이 지내며 서로 왕래한다. 태종황제가 죽고 새 황제가 즉위하여 과거를 실시하자 위공의 다섯째 아들 명이 장원급제하여 한림학사가 된다.

위한림이 하루는 유산에 갔다가 백의선인(白衣仙人)을 만나 천상의 보배인 옥소(玉簫 : 옥피리)를 전해 받고, 하늘이 정한 인연을 맺으라는 부탁을 듣고 돌아온다. 위한림은 이모를 찾아갔다가, 양상서의 딸과 옥소로 화답하고는 하늘이 정해 준 인연임을 알고 혼인한다.

연왕이 반란을 일으켜서 황제를 폐위(廢位)하고 황제가 되자, 위공 부자는 벼슬을 계속 할 것인가를 두고 고민하게 된다. 위공은 새 황제의 사부였기 때문에 부득이 벼슬을 하지 않을 수 없었고, 위공의 네 아들들도 벼슬을 하나, 오직 다섯째 아들인 명만이 벼슬하는 것을 거부한다.

위명은 옥에 갇히고 태형을 당하는 등 온갖 박해를 당하지만, 끝내 새 황제를 섬기지 않는다. 위명은 죽으려고 강물에 뛰어들었으나 한 어부가 건져내어 죽지 못한다. 강가에 있는 누각(樓閣)에 이르러 배 위에서 한 노인이 옥소를 부는 소리를 듣고 그를 따라간다.

한편, 양 부인은 시가에서 쫓겨나 친정으로 갔으나, 양상서가 딸을 진왕에게 개가시키려고 하므로 남장을 하고 남편을 찾아 나선다. 동정호에 이르러 남편을 발견한 양 부인이 노인에게 옥소를 주어 불게 한 것이다. 위명과 양 부인이 감격 속에 상봉하여 정담을 나누던 중 홀연 광풍이 크게 일어나, 양 부인이 타고 있던 배가 없어진다.

위명은 백호산 밑에 숨어 살고 있는 선조의 승상 서희조를 따라가, 그곳을 안식처로 삼고 지낸다. 위공과 양상서도 벼슬을 그만두고 백호산으로 서승상을 찾아오니 부자가 상봉한다. 위명은 양 부인을 잊을 수 없어 서학사의 딸과 재혼하라는 권고도 듣지 않고 독신으로 지낸다.

한편, 풍파를 만나 낭군을 잃은 양부인은 부처님의 지시를 받고 백호산으로 찾아온다. 산 위에서 두 사람이 만나 큰 기쁨을 나눈다. 그 뒤로 위명은 선도(仙道)를 닦아 세상에 나오지 않고 인간의 수명을 다하고 승천하니, 세상 사람들이 위학사와 양부인의 열절(烈節)과 옥소삼봉(玉簫三逢)을 칭찬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주인공 위명의 군왕에 대한 절개와 함께, 남편에 대한 양부인의 정절, 아내에 대한 위명의 절개를 일관된 주제로 그리고 있다. 작자가 단종 때의 생육신을 의식하고 썼는지는 알 수 없으나, 위명과 같은 절개와 의리의 인간상이나 충신상은 고전소설에서 찾아보기 힘들다.

또, 고전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성의 황당한 전기성(傳奇性)이나 기적 같은 우연성은 전혀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현실적으로 전개되어 있다. 주제의 표현에 있어서도, 주인공의 언어와 행동을 통하여 구체적이고도 강렬하게 부각시켰다. 이를 통하여 독자에게 충신의 영상이 가슴깊이 스미도록 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쌍렬옥소삼봉」(『필사본 고전소설전집』14, 아세아문화사, 1980)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기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