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권 3책. 석인본. 1933년경 문인 홍정수(洪禎修)가 간행하였다. 권말에 오상의(吳相毅)의 발문이 있다. 천(天)·지(地)·인(人) 3책으로 구분되어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제1책에 시 35수, 서(書) 50편, 제2책에 서(書) 32편, 잡저 20편, 제3책에 서(序)·기(記)·발(跋)·명(銘)·뇌문(誄文)·제문·통문 등 47편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상정재선생별지(上定齋先生別紙)」·「상정재선생문목(上定齋先生問目)」 등 스승 유치명(柳致明)에게 올린 것이 다섯 편 있다. 가례 중에서 참최(斬衰: 거친 베로 짓되 아랫도리를 접어서 꿰매지 않은 상복)에 대한 질문, 욕심과 노여움을 다스리는 방법, 서의(書儀) 중에서 궐문(闕文)인지를 묻는 것 등을 내용으로 하며, 그 답신도 함께 실려 있다.
같은 문인들과도 학문에 관해 서신 교환으로 전수하고 문답하였다. 그 가운데 「답박덕화가례문목(答朴德華家禮問目)」·「답최응팔대학문목(答崔應八大學問目)」·「답박달원대학문목(答朴達源大學問目)」 등이 있다.
잡저 가운데 「삼정교구책(三政矯救策)」과 「구폐사의(救弊私議)」는 그가 비록 초야에 묻혀 있지만 경제 상황에 대한 근심과 개선을 희구하여 쓴 글이다.
「가선록(嘉善錄)」과 「몽훈(蒙訓)」은 모두 아동들에게 교훈이 될 만한 선행가언을 저술한 것이다. 「가선록」은 유치명 및 향우(鄕友)들이 보고들은 선행에 관한 기록이며, 「몽훈」은 옛 성현들의 말을 인용해 간략히 지은 글이다.
「개정지암김문서사명고정도설(改正止庵金文瑞四銘考訂圖說)」·「개정도(改正圖)」는 김문서가 『안자전서(顔子全書)』의 사명도를 개정한 것에 대한 지도 사항과 그 개정도이다. 그밖에 「이욕교전설(理欲交戰說)」·「암거정설(巖居亭說)」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