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대군가 ()

고송최공실기 / 애대군가
고송최공실기 / 애대군가
고전시가
작품
조선 후기에 최찬(崔纘)이 지은 시조.
이칭
이칭
억대군가, 운전가
정의
조선 후기에 최찬(崔纘)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모두 2수로 ‘<억대군가(憶大君歌>’·‘<운전가(耘田歌>’라고도 불린다. 1863년에 간행된 『고송최공실기(孤松崔公實記)』에 4언6구로 된 한역가(漢譯歌)와 함께 실려 있다.

내용

광해군 때 이이첨(李爾瞻)의 무리가 득세하면서 영창대군(永昌大君)이 강화도에서 죽고, 인목대비(仁穆大妃)가 서궁에 유폐당함을 보고 슬퍼하여 지은 것이다. 이 시조 때문에 최찬은 1618년(광해군 10) 의금부에 하옥되었다가 인조반정으로 6년 만에 풀려났다.

작품내용은 다음과 같다. “남산의 시믄 ᄑᆞ시 씨는 어이 드므돗덧고/졈으도록 흣ᄆᆡ다가 홈의더러 니른 말리/플이야 셩타마ᄂᆞᆫ 너을 밋고 ᄆᆡ노라.”, “홈의 ᄃᆡ답호ᄃᆡ 쥬인님 내 말 듯소/ᄑᆞᆺ슬 시므거던 씨을 ᄇᆡ요 못ᄒᆞ실넌가/ᄲᅳᆯ히 깁고 수만ᄒᆞᆫ ᄯᅳᆯ을 낸들 어이ᄒᆞ리.” 김을 매는 농부와 호미와의 대화로 짝을 맞추어 노래하였는데, 전자는 왕자가 창성하지 못함을 슬퍼한 것이고, 후자는 소인의 무리가 크게 득세함을 한탄한 것이다.

의의와 평가

왕자를 ‘팥’, 소인을 ‘풀’에 비유하였다. 사물을 의인화하여 연작으로 화법형(話法形) 구성을 취한 보기드문 표현양식을 지닌 작품이다.

참고문헌

『고송최공실기(孤松崔公實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