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후기에 김려(金礪)가 지은 시조.
정의
조선 후기에 김려(金礪)가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저자는 평소 송시열(宋時烈)의 학덕을 흠모하면서 향리인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시 노안면 금안리 부근의 용산(龍山)에 용암(龍庵)이라는 누정을 짓고 생활하였는데, 이 시조는 「귀거래사(歸去來辭)」·「지지가(知止歌)」 등의 시조와 함께 이곳에서 지은 작품이다.

1914년 저자의 후손 기우(基禹)가 간행한 『서원연고(瑞原聯稿)』 권2 부록 말미에 ‘번곡(飜曲)’이라 하여 실려 있다.

내용

작품내용은 다음과 같다. “용산(龍山)이 놉고놉고 백운(白雲)이 깁고깁다/줄업는 거문고럴 뉘 아라 들을 손야/두어라 낙화만전계(落花滿前溪)ᄒᆞ니 세상(世上) 알ᄭᅡ ᄒᆞ노라.”

의의와 평가

『열자(列子)』에 나오는 거문고의 명인 백아(伯牙)가 자신의 거문고 소리를 알아주었던 종자기(鍾子期)가 죽자 거문고 줄을 끊고 다시는 손을 대지 않았다는 고사를 인용하여, 속세와의 인연을 끊고 선경에서 홀로 유유자적한 생활을 하겠다는 마음을 표현한 작품이다.

이는 시조의 전성기라 할 수 있는 숙종·영조 시대의 활발한 시조 창작활동의 한 면모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특히 시조의 이칭으로 ‘번곡’이라고 한 용례를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서원연고(瑞原聯稿)』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