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본자(本字)의 자획을 쓰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
내용 요약

약자(略字)는 본자(本字)의 자획을 쓰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이다. 약자의 형성은 대개 필기체에서 노력경제의 의식으로 나타나게 되며, 보편화되면 점차 인쇄체에도 파급되는 경향을 띠게 된다. 구결은 생략이 심한 약자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한자의 약자는 문헌상 목판본·지도 등에 많이 쓰였다. 약자는 정자(正字)에 대한 속자(俗字)의 성격을 지닌다. 정자의 기준은 『강희자전』에서 채택한 자전체이며 속자는 이 자전의 이체자(異體字)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약자는 정중한 표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손으로 쓴 글씨, 신문이나 출판물에서 약자를 사용하고 있다.

목차
정의
본자(本字)의 자획을 쓰거나 일부를 생략하여 간단하게 만든 글자.
내용

모든 문자는 다른 글자와 구별되는 시차소(示差素)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시차소가 곧 주1이다. 한글자체에서는 ‘ㅅ : ㅈ : ㅊ, ㅏ : ㅓ, ㅑ : ㅕ’ 등의 대립에서 보이는 자획의 차이가 그것이나, 이것은 훈민정음 창제 몇 년 후 『석보상절』에서 {{%068}} →ㅏ , 15년 후 『월인석보』에서 · →ㆍ, 이윽고 ˄→ㅅ, ㅈ→{{%279}} 등의 필기체와 같은 자형이 되었다. 약자의 형성은 대개 필기체에서 노력경제의 의식으로 나타나게 되며, 보편화되면 점차 인쇄체에도 파급되는 경향을 띠게 된다.

획이 많은 한자는 예로부터 약자가 쓰였다. 특히 구결(口訣)은 극심한 약자로 쓰어지며(예 : 厓→厂, 爲→ソ, 羅→ᄉᆞ 등), 근래에 발견된 『구역인왕경(舊譯仁王經)』의 석독(釋讀)은 14세기초의 필기로서 약자의 오랜 역사를 보여주고 있다(예 : 衣→ラ, 隱→フ, 所→ケ, 乎→ノ 등). 이것은 일본문자의 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자의 약자는 문헌상 목판본 · 지도 등에 많이 쓰였다. 가령, 『고려대장경』의 断(斷), 来(來), 纯(純), 隠(隱), 尒(爾), 聽(聽) 등, 『삼국유사』의 倹(儉), 軽(輕), 礼(禮), 庙(廟), 弥(彌), 釈(釋), 与(與), 済(濟), 号(號) 등, 『전운옥편』의 个 介(箇), 与(擧), 乱(亂), ○(來), 仏(佛), 岳(嶽), 从(從), 処(處), 扦(0x977c) 등,

『대동여지도』의 関(關), 覌(觀), 旧(舊), 国(國), 皈(歸), 楽(樂), 恶(惡), 岺(嶺), 灵(靈), 竜(龍), 発(發), 过(邊), 変(變), 宝(寶), 双(雙), 駅(驛), 㭗(鬱), 仅(儀), 鉄(鐵), 疂(疊), 弹(彈), 学(學) 등이 그것이다. 그 약자의 구성은 부분생략(예 : 声, 点, 経, 㷌, 普 등)과 주2 대용(예 : ○, 丮, 万, 介, 旧 등)으로 구분된다.

약자는 정자(正字)에 대한 속자(俗字)의 성격인데, 정자의 기준은 이른바 『강희자전』에서 채택한 자전체이며, 속자는 이 자전의 이체자(異體字), 즉 동자(万=萬), 고자(仏←佛), 속자(叙←敍), 통자(注←註), 약자(岩←巖)의 일종이다.

약자는 공문서나 상대의 성명과 같은 정중한 표기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약자라도 중국이나 일본처럼 표준자체로 제정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오늘의 편리를 위해서 우리에게도 약자제정이 절실하며, 남의 나라에서 제정한 글자를 빌어다 쓰는 일은 없어야 하겠다.

한편, 한글전용자들은 약자의 편리가 한자사용을 조장한다고 보아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있다. 1967년 11월 문교부(지금의 교육부) 국어심의회에서 그 약자심의가 있었는데, 실제로 그러한 반대에 부딪쳐 실패로 돌아간 예가 있다. 그러나 주3은 물론, 신문을 비롯한 출판물까지도 많은 약자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실정이다.

참고문헌

『강희자전(康熙字典)』
『왜해정와(倭楷正訛)』
『국어핸드북』(김민수, 일조각, 1960)
『국어정책론』(김민수, 고려대학교출판부, 1973)
「宋元以來俗字譜」(劉復共·李家瑞 編, 『中央硏究院歷史言語硏究所 單刊甲種』 第3本, 北京, 1930)
「한자(漢字)의 약자화(略字化)를 반대한다」(최현배, 『세대』 5-7, 1967.7.)
「中·韓·日三國漢俗字攷」(成元慶, 『反攻』 320, 臺北, 1967.10.)
「신문용(新聞用) 약자(略字)(시안) 선정 경과보고」(김두찬, 『어문연구』 9-2, 1981.10.)
「한자약자(漢字略字)의 사견(私見)·사안(私案)」(박로춘, 『어문연구』 9-2, 1981)
「중공(中共) 간화자(簡化字)에 대한 한국속약자(韓國俗略字)와의 비교고찰」(성원경, 『어문연구』 9-2, 1981)
「한자의 간화자(簡化字)에 대한 한중(韓中)(中共)비교고찰」(성원경, 『국어국문학』 86, 1981.12.)
주석
주1

한 언어의 문자 체계에서 음소를 표시하는 최소의 변별적 단위로서의 문자 혹은 문자 결합. 예를 들어 음소 /p/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는 pin의 p, hopping의 pp, hiccough의 gh는 모두 한 자소의 구성원이다. 우리말샘

주2

사물 전체의 모습이나 형상. 우리말샘

주3

손으로 직접 쓴 글씨. 우리말샘

집필자
김민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