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원집 ()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문신, 이숙함의 시 · 기 · 서(序) · 비명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전기의 문신, 이숙함의 시 · 기 · 서(序) · 비명 등을 수록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저자의 원문집은 병화로 분실되고, 1638년(인조 16) 방손 경의(景義)가 주군(州郡) 판제(板題)와 『여지승람』에 실려 있는 글을 모아 간행하였다고 하나 전해지지 않는다. 이 책의 편자는 알 수 없으며, 『동문선』과 묘석에 기록되어 있는 글을 모아 편집한 것이다. 정확한 필사연대는 알 수 없으나, 부록에 이의조(李宜朝)의 봉안제문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영조조 후에 편집, 필사된 듯하다.

서지적 사항

불분권 1책. 필사본.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국사편찬위원회에 있다.

내용

시 29편, 기(記) 7편, 서(序) 1편, 비명 2편, 묘표 1편, 부록으로 행장, 지례도동서원봉안제문(知禮道洞書院奉安祭文), 도동서원춘추상향축문(道洞書院春秋常享祝文)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의 「차운암원부설원록(車雲巖原頫雪寃錄)」은 하륜(河崙)이 보낸 자객에게 차원부(車原頫)가 피살되었던 송마(松麻)에서 지은 것으로, 그의 충절을 찬양하면서 소설(昭雪)을 축하하고 있다. 이 밖의 시는 모두 영물시(詠物詩)이다.

기에는 파주의 「화석정기(花石亭記)」, 원주의 「숭화정기(崇化亭記)」·「전사청기(典祀廳記)」·「내승제명기(內乘題名記)」·「승문원제명기(承文院題名記)」, 영광(靈光)의 「망원루기(望遠樓記)」, 진도(珍島)의 「벽파정기(碧坡亭記)」가 있다.

서의 「남원양씨족보서(南原梁氏族譜序)」는 1482년(성종 13)에 쓴 글로 조선시대 족보사 연구에 참고자료로 평가된다. 이밖에 저자의 둘째아버지 예조참판 보정(補丁)과 성종조 전라도관찰사 강자평(姜子平)의 신도비명, 아버지 연성부원군(延城府院君)말정(末丁)의 묘표가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