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아주 ()

목차
의생활
개념
삼국시대에 제직되어 사용된 직물.
목차
정의
삼국시대에 제직되어 사용된 직물.
내용

이 어아주는 723년(성덕왕 22)·748년(경덕왕 7)·773년(혜공왕 9)에 당나라에 토산품으로서 보낸 사실이 『삼국사기』·『책부원구(冊府元龜)』·『당회요(唐會要)』 등의 기록에 나타난다. 869년(경문왕 9)에는 소화어아금·대화어아금을 당나라에 보냈다.

이리하여 어아로 명명된 직물에는 주와 금의 종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어아주와 어아금은 같은 직물이라는 견해도 있다. 어아주와 어아금은 문주(紋紬)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문주는 평지에 직문(織紋)되므로 주로 생각되기도 하고 문직으로 생각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어아주·어아금은 당나라의 태사(太糸)·후직(厚織)의 주와는 비교가 안 되는 고급 주였기 때문에 당나라 사람에게 선호되어 오랫동안 교역품이 되었다고 본다. 우리나라는 주를 선호하였던 것으로 나타난다. 통일신라시대에는 주가 표의(表衣)·내의(內衣)·반비(半臂)·고(袴)·대(帶)·버선 등의 재료로 이용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세주(細紬)·면주(綿紬)가 교역품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생주·면주·정주·토주 등 그 종류가 대단히 많았고, 빛깔도 자적·초록·대홍·유청·분홍·황·홍·남·옥색·흑백·청색 등 다양하게 염색되었다. 그리고 근래까지도 농가에서 베틀로 명주를 짜서 남녀의 의복, 이불감 등으로 사용하였다.

중국에서도 전한 때의 기록에 주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는데 『설문(說文)』에서는 주는 굵은 실로 짠 비단이라 하였다. 『급취편(急就篇)』의 주에 대한 해석에 대하여 안사고(顔師古)도 조견(粗繭)의 실로 방직한 것이라고 하여, 고급 견직물이 아니었음이 나타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주는 중국과 달리 그 종류가 다양하였으며 섬세하고도 사치스럽게 염색되어 사용되었음이 각종 기록에 나타난다.

이것은 우리나라 의복에서 추구하는 미가 섬세, 단조로움에서 얻어지는 단아함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기 때문에 그와 같은 특성을 지닌 주가 선호되었고 제직기술도 발달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연행록(燕行錄)』
『책부원구(冊府元龜)』
집필자
민길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