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선외사 ()

목차
관련 정보
여선외사
여선외사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번역소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번역소설.
내용

45책. 한글필사본. 낙선재구장본으로 전한다. 청나라 여웅(呂熊)이 지은 동명의 소설을 완역한 것이다. 중국간본으로는 조황헌저판(釣璜軒貯板)의 청간본(淸刊本)인 「신각일전수여선외사대기서(新刻逸田叟女仙外史大奇書)」가 규장각에 있다.

이 소설은 건문제(建文帝)에 충성을 다한 궁녀의 이야기를 기록한 것이다. 명나라 영락(永樂) 18년 2월에 당새아(唐賽兒)라는 여자가 난을 일으켜 20여 년간 건문황제의 연호를 받들다가 평정된 사실에 근거하고 있다.

당새아가 여인의 몸으로 순난(殉難) 제신(諸臣)의 자제들을 규합하여 연왕(燕王), 곧 태종에게 맞서 곤욕을 치르게 하는 전말을 이야기로 꾸민 것이다.

청간본에는 진혁희(陳奕禧)의 서언, 유정기(劉廷璣)의 품제, 탕옹념(湯顒念)의 평론, 여웅의 발문·자서, 엽부(葉旉)의 발어가 권두에 붙어 있고 목차도 있다. 그러나 낙선재구장본에는 그러한 것들이 없다.

청간본은 강희(康熙) 신묘(辛卯)에 발어가 쓰여 있어 1711년(숙종 37) 이후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낙선재구장본은 필사기가 없어서 필사시기를 추정할 수가 없다. 본래의 청간본은 100회의 장회소설로 각 장회마다 권을 달리하였으나, 낙선재구장본은 권수를 임의로 45로 나누되 각 권에 장회명을 그대로 옮겨 적고 있다.

장회명은 칠언대련, 팔언대련, 구언대련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를테면 제2회는 ‘포대현항아강세 임환가후예투태(蒲臺縣嫦娥降世 林宦家后羿投胎)’, 제3회는 ‘포선고화신작유모 당새아탄일오전인(鮑仙姑化身作乳母 唐賽兒誕日悟前因)’, 제8회는 ‘구천현녀교천서칠권 태청도조사단약이환(九天玄女敎天書七卷 太淸道祖賜丹藥二丸)’과 같은 식이다.

청간본에는 각 장회의 끝부분에, 유정기·진혁희·탕옹념·홍승(洪昇)의 평어를 붙이고 있다. 그러나 낙선재구장본에는 평어가 없고 각 장회의 첫머리에 ‘화셜’이라는 말을 덧붙였다. 문체면에서 보면, 본래의 소설은 백화체인데, 낙선재본은 우아한 한글번역문체이다.

「여선외사」의 제1회 ‘셔왕모요지개연 톈낭셩월젼구인(西王母瑤池開宴 天狼星月殿求姻)’은 항아가 당새아로, 천랑성이 연왕으로 강생하게 되는 천상계의 이야기를 서술하였다.

이 소설에 대해 청나라의 유정기는 『재원잡지(在園雜志)』에서, “여웅은 성격이 외톨지고 행동이 괴팍하다. 그가 쓴 「여선외사」 100회도 황당하기만 한데, 평생의 학문과 심사를 이것에다 기탁하였다(吳人呂文兆熊性情孤冷擧止怪僻, 所衍女仙外史百回亦荒誕, 而平生學問心事皆寄託於此).”라고 한 바 있다.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심경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