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각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개념
삼승 가운데 성문과 보살과 달리 스스로 깨달음 얻은 수행자를 가리키는 불교교리. 벽지불 · 독각.
이칭
이칭
벽지불(辟支佛), 독각(獨覺)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삼승 가운데 성문과 보살과 달리 스스로 깨달음 얻은 수행자를 가리키는 불교교리. 벽지불 · 독각.
개설

벽지불(辟支佛) 또는 독각(獨覺)이라고도 한다. 삼승은 성문(聲聞)과 연각과 보살(菩薩)의 세 가지 수행 부류를 말한다. 연각은 불교의 가르침을 듣고 도를 깨닫는 성문과는 달리 외부의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스스로 인연의 법칙을 관찰함으로써 깨달음을 얻는 자이다. 그리고 남을 구제하는 부처와는 달리 자기만의 깨침을 목적으로 삼아 산림(山林)에 은둔하여 세상 사람들을 지도하거나 제도하지 않는 독선자로 알려져 있다.

내용

석가모니는 보리수 밑에서 인연의 법칙을 관찰하여 정각(正覺)을 이룬 뒤 삼칠일(21일) 동안 선정(禪定)의 상태에서 깨달음의 즐거움을 누리는 한편, 자기가 깨달은 인연의 이치를 중생들에게 어떻게 전파할 것인가를 고심하였다. 그러나 정각의 진리가 너무 어려워서 사람들이 이해하기 힘들기 때문에 그대로 열반에 들어 버릴 것을 생각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때의 상태를 연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범천(梵天)이 석가모니 앞에 나타나서 법을 설하지 않으면 사람들의 타락과 고뇌가 더할 것이므로 마땅히 설법해야 함을 간청하였고, 이에 석가모니는 중생교화를 결심하였다. 이때의 석가모니는 연각이 아니라 부처이다.

그러나 불교의 역사상으로는 연각이 실제로 존재하지 않았으며, 연각의 독자적인 가르침도 없다. 대승불교에서는 십이연기(十二緣起)의 법문을 연각의 근본 가르침이라고 하였지만, 이와 같은 구분은 뚜렷한 근거가 있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많은 고승들이 삼승의 법을 밝힐 때 연각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신라원효(元曉)는 그의 독창적인 교상판석(敎相判釋)에서, 삼승별교(三乘別敎)의 입장에서 볼 때 연각은 연기경(緣起經)을 공부해야 하지만, 삼승통교(三乘通敎)의 입장에서 볼 때는 『반야경(般若經)』 계통의 경전과 『해심밀경(解深密經)』 등을 공부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놓았다.

조선 중기의 고승 언기(彦機)는 부처가 성문을 위하여 사제(四諦)를 설하고 연각을 위하여 십이인연(十二因緣)을 설하고, 보살을 위하여 방등(方等)의 법문이나 『화엄경』을 설하였지만, 그 모두가 한 가지 이치에서 설해진 것이고 그 근본이 묘심(妙心)에 있음을 강조하였다.

참고문헌

『편양집(鞭羊集)』
『화암경문의요결문답(華巖經文義要訣問答)』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