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심밀경 ()

목차
관련 정보
해심밀경
해심밀경
불교
문헌
유식사상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
목차
정의
유식사상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
내용

5권. 우리 나라에서는 신라와 고려시대에 널리 연구되었다. ‘해심밀’은 긴밀하고 깊게 얽힌 것을 푼다는 뜻에서 지어진 이름이다. 이 경은 마음에 의하여 세상의 만사가 얽힌 상태로 전개된 것임을 본질적인 측면에서 명쾌하게 해명하기 위하여 설하여진 것이다.

여러 가지 한역본 가운데 우리 나라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것은 당나라 현장(玄奘)의 번역본이다. ① 서품(序品), ② 승의제상품(勝義諦相品), ③ 심의식상품(心意識相品), ④ 일체법상품(一切法相品), ⑤ 무자성상품(無自性相品), ⑥ 분별유가품(分別瑜伽品), ⑦ 지바라밀다품(地波羅蜜多品), ⑧ 여래성소작사품(如來成所作事品)의 8품 중 ②∼⑤의 4품은 유식(唯識)의 경을 밝힌 부분이다.

⑥은 유식의 관법(觀法)을 설명하고 있으며, ⑦은 유식의 행(行)을, ⑧은 유식의 과(果)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②∼⑤의 4품은 이 경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인데, ② 승의제상품은 승의제인 진여(眞如)의 경을 설명하였고, ③ 심의식상품은 세속제(世俗諦)의 경을 밝힌 것으로 서로 상대(相對)되는 것이다.

이 승의제와 세속제는 다른 경에서 진제(眞諦)와 속제(俗諦)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승의제는 마음의 영원불멸한 실상(實相)을 깨닫는 일을 말하고, 세속제는 마음의 동요가 빚는 갖가지 생멸(生滅)의 상에 대한 이해를 말한다.

승의제상품은 진여에 대한 설명을 네 가지 측면에서 진행시키고 있다. 진여는 명언(名言)과 유(有)·무(無)의 두 가지 관념을 초월하여, 인간의 얕은 분별지(分別智)의 사의(思議)를 훨씬 넘어섰고, 결코 물건이나 관념이 아니므로 수적으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며, 모든 것에 두루 평등하게 관련되어 한결같은 맛〔一味〕을 지닌다.

심의식상품에서는 제8식(識)을 설하고 있는데, 제8식은 항상 제6식과 함께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갖가지 분별을 일삼는 근본이 됨을 밝혔다. 또 이렇게 분별된 것들에는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과 의타기성(依他起性)의 것이 있으며, 이 두 가지에다 진여의 원성실성(圓成實性)을 포함하여 일체법(一切法)의 법상(法相)이라고 설한 것이 일체법상품의 내용이다.

그러나 일체법의 이와 같은 삼성(三性)에는 그 자성이 무성이라는 성격〔自性無性性〕이 있으므로 이것을 강조한 것이 제5품이다. ⑥ 분별유가품에서는 지관행(止觀行)을 상세하게 설명하였고, ⑦ 지바라밀다품에서는 부처님이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을 상대로 설한 십지(十地)와 십바라밀(十波羅蜜)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⑧ 여래성소작사품은 여래의 법신상(法身相), 그리고 화신(化身)의 작업(作業)은 어떠한가 등을 강조하고 있다.

이 경에 대한 우리 나라 승려의 주석서로는 신라 원측(圓測)의 ≪해심밀경소 解深密經疏≫ 10권, 원효(元曉)의 소(疏), 경흥(憬興)의 소 5권, 영인(靈因)의 소 11권 등이 있다.

이 중 원효의 것은 서문만 남아 있고, 원측의 것은 제10권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전하며, 경흥과 영인의 것은 현존하지 않는다. 이 가운데 원측의 것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현존하면서 널리 읽히고 있는 대표적인 주석서이다. 따라서 이 경과 이 경에 담겨 있는 유식사상 등을 연구하는 데는 원측의 소가 절대적인 지침서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불전해설(佛典解說)』(이기영, 한국불교연구원, 197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서경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