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상생경 ()

미륵상생경
미륵상생경
불교
문헌
우리나라 미륵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우리나라 미륵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
개설

1권.『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觀彌勒菩薩上生兜率天經)』이라고도 한다.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 · 『미륵성불경(彌勒成佛經)』과 함께 미륵삼부경(彌勒三部經)이라 하여 우리 나라에서 널리 유통되었다.

내용

내용은 석가모니불의 제자인 미륵아일다(彌勒阿逸多, Maitreya Ajita)에 대한 것, 도솔천의 장엄(莊嚴), 미륵보살의 상생(上生)과 하생(下生)에 관한 세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부처님이 사위국에 계실 때 미륵이 12년이 지나 목숨을 마치면 도솔천에서 태어날 것이며, 후세에 미륵불이 될 것이라는 수기(授記)를 받는 내용이다.

둘째, 도솔천은 오백만억 명의 하늘나라 아들들의 서원(誓願)에 의하여 장엄되는데, 이 칠보(七寶)로 장엄된 세계에는 저절로 생긴 악기에서 항상 십선(十善)과 사홍서원(四弘誓願)을 설하는 음악이 나오며, 5대신(五大神)이 있어서 갖가지 법문을 설한다.

그리고 이 도솔천에 태어나기 위해서는 오계(五戒)와 팔재계(八齋戒) · 구족계(具足戒)를 갖추고 몸과 마음으로 정진해야 하며, 십선법(十善法)을 닦고 도솔천의 쾌락함을 사유해야 한다고 하였다.

셋째, 미륵신앙의 의의를 천명해주는 부분에는 일반 신도들이 미륵불을 찾고 그에게 귀의하게 되는 이유와 그를 만나 제도를 받기 위한 수행방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를 정리해보면, ① 부처가 죽은 뒤 끊임없는 정진을 하고 많은 공덕을 쌓을 때, ② 탑을 깨끗이 하고 좋은 향과 아름다운 꽃을 공양할 때, ③ 여러 가지 삼매(三昧)를 닦아 깊은 선정(禪定)에 들 때, ④ 경전을 독송할 때, ⑤ 염불을 하고 미륵불을 칭명(稱名)할 때,

⑥ 8계(戒)를 받고 깨끗한 행동을 닦으면서 사홍서원을 할 때, ⑦ 염부제(閻浮提)에서 널리 복업(福業)을 닦을 때, ⑧ 계를 어기고 악한 일을 범하였더라도 미륵보살의 자비로운 이름을 듣고 정성껏 참회할 때, ⑨ 미륵보살의 명칭을 듣고 그 형상을 만들어 향과 꽃, 깃발로 장엄하게 예배할 때 도솔천에 왕생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 경에서 왕생신앙을 강조하고, 또 왕생을 위하여 요구되는 수행덕목 들이 손쉽게 실천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 경에 근거하여 우리 나라의 미륵신앙이 널리 전개될 수 있었다.

이 경에 관한 찬술 주석서로는 원측(圓測)의 『미륵상생경약찬(彌勒上生經略贊)』 2권과 원효(元曉)『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 1권, 『미륵상하생경기(彌勒上下生經記)』 3권, 경흥(憬興)『미륵상생경요간기(彌勒上生經料簡記)』 1권, 대현(大賢)의 『미륵상생경고적기(彌勒上生經古迹記)』 1권 등 다수의 신라시대 저술이 있다.

우리나라 소장 판본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는 『미륵상생경』은 해인사에서 1913년에 발행된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는 신라시대 크게 흥행하였던 미륵신앙을 뒷받침해주는 좋은 사료가 된다. 고려 이후 이 경에 대한 주석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