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륵하생경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문헌
우리나라 미륵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
목차
정의
우리나라 미륵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
개설

1권. 구원(久遠)한 미래에 미륵불이 이 세상에 태어나서 부처가 되고 상카왕(Sankha王)을 비롯하여 많은 중생들을 교화하는 것을 주제로 삼고 있다. 『미륵상생경(彌勒上生經)』 · 『미륵성불경(彌勒成佛經)』과 함께 미륵삼부경(彌勒三部經)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여러 가지 한역본 중 주1의 것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내용

석가모니가 기수급고독원에 있을 때 주2의 물음으로 시작되는 이 경전은 ① 미래세계의 상황, ② 주3 상카, ③ 미륵의 탄생과 성장, ④ 미륵의 출가와 성도(成道), ⑤ 미륵불의 설법(說法)과 제도(濟度), ⑥ 미륵불의 입멸(入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우리나라의 미륵신앙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미륵불의 설법과 제도이다.

미륵불의 최초 설법내용은 사제(四諦) · 팔정도(八正道) · 주4 · 삼십칠도품(三十七道品)이며, 이 설법은 3회에 걸쳐 행해진다. 제1회는 96억의 사람이 아라한(阿羅漢)의 과(果)를 얻고, 제2회는 94억인, 제3회는 92억인이 각각 아라한의 과를 증득하는데, 이를 주5라고 한다.

이 법회에 참석할 수 있는 이는 과거에 공덕을 쌓은 사람으로서, 경률론(經律論)의 삼장(三藏)을 독송하고, 남을 위하여 옷을 보시하고 지계(持戒)와 지혜(智慧)의 공덕을 쌓거나, 부처님께 주6를 공양하거나, 고뇌중생을 위하여 깊은 자비심을 내는 일, 지계 · 인욕(忍辱)을 닦고 청정한 자비심을 내어 승려들에게 음식을 보시하며, 사리(舍利)를 공양하는 사람 등은 모두가 미륵불에 의하여 구원될 것이라고 하였다.

지금부터 56억 7,000만 년 뒤 인간의 수명이 8만 4,000세가 될 때 이상적인 용화세계(龍華世界)가 실현되고 미륵불이 주7할 것이라는 예언의 내용으로 되어 있는 이 경은 희망의 신앙으로서 널리 신봉되고 전승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사찰의 건물 중 용화전(龍華殿)은 이 경에 근거하여 미륵불을 봉안하고 있다.

이 경에 관한 한국인 찬술 주석서로는 원효(元曉)의 『미륵상하생경기(彌勒上下生經記)』 3권과 경흥(憬興)『미륵하생경소(彌勒下生經疏)』 1권, 대현(大賢)의 『미륵하생경고적기(彌勒下生經古迹記)』 1권 등이 있다. 우리나라 보유 판본에 감지금니 『미륵하생경』(보물, 1991년 지정)이 있다.

참고문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韓國佛敎撰述文獻總錄)』(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
주석
주1

중국 서진(西晉)의 승려(?~?). 스승인 축고좌(竺高座)를 따라 서역을 순력(巡曆)하고 불전(佛典)을 장안(長安)으로 가져와 번역하여 중국 초기 불교의 이론적 근거를 확립하는 데 힘썼다. 우리말샘

주2

‘아난다’를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인도 신화 속의 임금. 정법(正法)으로 온 세계를 통솔한다고 한다. 여래의 32상(相)을 갖추고 칠보(七寶)를 가지고 있으며 하늘로부터 금, 은, 동, 철의 네 윤보(輪寶)를 얻어 이를 굴리면서 사방을 위엄으로 굴복시킨다. 우리말샘

주4

범부로서의 인간의 괴로운 생존이 열두 가지 요소의 순차적인 상관 관계에 의한 것임을 설명한 것. 진리에 대해 무지(無知)한 무명(無明)을 근본 원인으로 하여 행(行), 식(識), 명색(名色), 육처(六處),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가 순차적으로 있게 된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5

미륵보살이 성불한 후에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연 법회. 석가모니가 입멸한 뒤 56억 7천만 년 만에 세상에 나타나서 용화수 밑에서 도를 이루고, 세 차례의 설법을 한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6

향과 꽃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7

신이 하늘에서 인간 세상으로 내려옴.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