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현(太賢)은 법명(法名)이 태현 또는 대현(大賢)이고, 청구사문(靑丘沙門)이라고도 불리었다. 7세기 중반 이래 신라 유식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종합한 승려이다. 고려 전기에 유가업의 종조(宗祖)로 추숭(追崇)되었다.
태현은 원효(元曉), 의적(義寂), 경흥(憬興)과 더불어 신라 4대 저술가로 꼽힐 만큼 많은 저술을 한 승려로도 유명하다. 현재 전하는 태현의 저서로는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 『기신론내의약탐기(起信論內義略探記)』, 『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범망경보살계본종요(梵網經菩薩戒本宗要)』, 『약사본원경고적기(藥師本願經古迹記)』 5부이다.
『삼국유사』에 태현에 관한 일화가 전하고 있다. 태현은 주로 경주 남산의 용장사(茸長寺)에서 주석(駐錫)하였는데, 그가 절에 있던 미륵석조장육상의 둘레를 돌 때면 불상 또한 태현을 따라 얼굴을 돌렸다고 한다. 753년(경덕왕 12) 여름에 가뭄이 심하자, 경덕왕이 태현을 궁궐로 불러 『금광명경』을 강론하게 하였다. 이 강경(講經) 법회 때 우물의 물이 넘치는 이적이 나타났다. 그래서 그 우물을 금광정이라 하였다. 이 일화를 통해 신라의 유식승들이 『금광명경』을 중심으로 한 정법치국을 강조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삼국유사』에는 태현이 화엄승 법해와의 법력 대결에서 진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삼국유사』의 이러한 서술은 『삼국유사』가 화엄 우위의 서술을 보이는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태현은 7세기 후반부터 8세기 전반까지 신라에서 성행하였던 유식학풍을 계승한 유식학승이다. 그는 현장(玄奘) 이후의 신유식학뿐만 아니라 대승기신론도 수용한 융합적인 사상을 가졌다.
태현이 지은 것으로 알려진 저서는 총 52종에 달한다. 그중 경(經)에 관한 저서는 총 20종이다. 『화엄경고적기(華嚴經古迹記)』 10권, 『반야이취분경주(般若理趣分經注)』 2권, 『금강반야경고적기(金剛般若經古迹記)』 1권, 『신역금강반야경고적기(新譯金剛般若經古迹記)』 1권, 『인왕반야경고적기(仁王般若經古迹記)』 1권, 『반야심경고적기(般若心經古迹記)』 1권, 『반야심경주(般若心經注)』 2권, 『법화경고적기(法華經古迹記)』 4권, 『무량수경고적기(無量壽經古迹記)』 1권, 『관무량수경고적기(觀無量壽經古迹記)』 1권, 『아미타경고적기(阿彌陀經古迹記)』 1권, 『칭찬정토경고적기(稱讚淨土經古迹記)』 1권, 『정토총료간(淨土總料簡)』 1권, 『열반경고적기(涅槃經古迹記)』 8권, 『약사본원경고적기』 2권, 『미륵상생경고적기(彌勒上生經古迹記)』 1권, 『미륵하생경고적기(彌勒下生經古迹記)』 1권, 『미륵성불경고적기(彌勒成佛經古迹記)』 1권, 『금광명경술기(金光明經述記)』 4권, 『금광명경료간(金光明經料簡)』 1권이 경에 관한 저서이다. 저술 목록을 살펴볼 때, 태현이 아미타(阿彌陀) 신앙과 미륵신앙에 큰 관심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율(律)에 관한 것으로는 『범망경고적기』 3권, 『범망경보살계본종요』 1권, 『유가계본종요(瑜伽戒本宗要)』 1권으로 총 3종이 있다. 이 가운데 특히 『범망경보살계본종요』는 일본의 율학 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다.
논(論)에 관한 저술 대부분은 유식학 논서에 대한 것이다. 『불지론고적기(佛地論古迹記)』 1권, 『광백론고적기(廣百論古迹記)』 1권, 『장진론고적기(掌珍論古迹記)』 1권, 『유가론고적기(瑜伽論古迹記)』 4권, 『유가론찬요(瑜伽論撰要)』 3권, 『성유식론고적기(成唯識論古迹記)』 10권, 『성유식론결택(成唯識論決擇)』 1권, 『광석본모송(廣釋本母頌)』 3권, 『유식이십송고적기(唯識二十頌古迹記)』 1권, 『섭대승론세친석론고적기(攝大乘論世親釋論古迹記)』 1권, 또 『섭대승론무성석론고적기(攝大乘論無性釋論古迹記)』 1권, 『중변론고적기(中邊論古迹記)』 1권, 『변중변론고적기(辨中邊論古迹記)』 1권, 『현양론고적기(顯揚論古迹記)』 2권, 『잡집론고적기(雜集論古迹記)』 4권, 『보살장아비달마고적합집(菩薩藏阿毘達磨古迹合集)』 17권, 『성업론고적기(成業論古迹記)』 1권, 『오온론고적기(五蘊論古迹記)』 1권, 『백법론고적기(百法論古迹記)』 1권, 『관소연연론고적기(觀所緣緣論古迹記)』 1권, 『인명입정리론기(因明入正理論記)』 1권, 『인명입정리론고적기(因明入正理論古迹記)』 1권, 『인명입정리론학기(因明入正理論學記)』 1권, 『인명정리문론고적기(因明正理文論古迹記)』 1권, 『기신론내의약탐기(起信論內義略探記)』 1권, 『법원의림대승심로장(法苑義林大乘心路章)』 2권, 『법원의림석명장(法苑義林釋名章)』 1권, 『대승일미장(大乘一味章)』 1권, 『대법론고적기(對法論古迹記)』 4권으로 총 29종이다. 『성유식론고적기』와 『성유식론학기』는 이름만 다른 같은 책으로 추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