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서 ()

목차
언어·문자
개념
훈민정음에서 순경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순음자 밑에 이응(ㅇ)을 이어 쓰는 표기법.
목차
정의
훈민정음에서 순경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순음자 밑에 이응(ㅇ)을 이어 쓰는 표기법.
내용

초성자(初聲字)를 위아래로 이어쓰는 것을 말한다. 특히, 순경음(脣輕音)을 나타내기 위하여 순음자 밑에 ‘ㅇ’을 이어 쓴 것이다. 언해에서는 “니ᅀᅥ 쓰다”로 되어 있다.

『훈민정음』예의본에는 “ㅇ을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쓰면 곧 입술가벼운소리가 된다(ㅇ連書脣音之下則爲脣輕音).”라 하였고, 해례본 제자해(制字解)에는 “ㅇ을 입술소리 아래에 이어쓰면 곧 입술가벼운 소리가 되는 것은, 가벼운 소리로, 입술이 잠깐 합할락말락하면서 목구멍소리가 많기 때문이다(ㅇ連書脣音之下則爲脣輕音者以輕音乍脣合而喉聲多也).”라 하였으며, 국역본에는 “ㅇᄅᆞᆯ 입시울쏘리 아래 니ᅀᅥ쓰면 입시울 가ᄇᆡ야ᄫᆞᆫ 소리 ᄃᆞ외ᄂᆞ니라.”고 하였다.

또 해례본 합자해(合字解)에는 “ㅇ을 ㄹ 아래에 이어쓰면 반가벼운혓소리가 되나니, 혀가 잠깐 윗잇몸에 붙을락말락한다(ㅇ連書ㄹ下爲半舌輕音舌乍附上腭).”라고 하였다. 순음(脣音) ‘ㅁ, ㅂ, ㅃ, ㅍ’ 아래에 ㅇ을 연서하면 순경음이 된다고 하였으니, 원순음은 순중음(脣重音)이라 할 수 있다.

순경음의 음가에 대하여, 홍계희(洪啓禧)의 『삼운성휘(三韻聲彙)』(1751년) 범례에서는 “ㅂ에 ㅇ을 연서할 때는, 입술이 합할락말락하며 불어내는 날숨으로 소리내어 ○이 되므로, 빈 동그라미를 ㅂ 아래 더한다. ㅹ, ㅱ 또한 같다(……而爲ㅂ之時 將合勿合吹氣出聲爲○ 故加空圈於ㅂ下奉ㅹ微ㅱ亦同).”라 하였다.

또한 박성원(朴性源)의 『화동정음통석운고 華東正音通釋韻考』(1747) 범례에서는 “……○는 ‘부우’의 중간소리이니 경순음은 입술을 불어 소리낸다(……○者부우之間音 輕脣音吹脣而呼).”라고 하였다. 이들을 현대음가로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β](중국 한자음의 경우 [f]), ㅹ[v], ㆄ〔{{%192}}〕, ㅱ〔{{%138}}〕, ○[r](彈舌音).

참고문헌

『훈민정음(訓民正音)』(해례본)
『신강훈민정음(新講訓民正音)』(서병국, 경북대학교, 1975)
집필자
서병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