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파집 ()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김병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김병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4년 김병휘의 문인 박제욱(朴齊勗)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기우만(奇宇萬)의 서문과 권말에 박제욱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활자본.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182수, 권2에 서(書) 33편, 권3에 잡저 4편, 서(序) 8편, 기(記) 8편, 발(跋) 4편, 행장 5편, 상량문·제문 각 1편, 권4에 설(說) 10편, 논(論) 1편, 부록으로 행장·묘표·묘갈명·연파기(蓮坡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자경(自警)」이라는 시가 맨 처음에 실려 있다. 이는 스스로 마음가짐을 곧게 하겠다는 다짐을 읊은 것으로, 이 시권(詩卷)의 서시(序詩)에 해당한다. 시의 형식은 10여 편의 오언절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칠언절구와 칠언율시로 되어 있다. 그 내용은 자연경물(自然景物)을 읊은 시는 거의 없고, 희제(戱題)·희음(戱吟)·희증(戱贈) 등의 이름을 붙여 가볍게 해학적인 필치로 그려낸 시들이 많은 점이 특징이다.

「갑오동적지변여다사모거의불해(甲午東賊之變與多士謀擧義不諧)」에서는 동학란을 맞아 부심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병자무자십삼년간기근존진유감(丙子戊子十三年間飢饉荐臻有感)」에서는 기근에 고생하는 농민의 생활을 읊어내었다. 서(書)는 정주(程朱)의 설에 의문나는 점 등을 스승이나 벗에게 묻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잡저 가운데 「민농문(憫農文)」은 천하의 근본이어야 할 농민이 불합리한 조세와 관리의 수탈로 가난을 면하지 못하는 데 대한 안타까움을 적은 글이다. 설 가운데 「심설시방형중(心說示房炯中)」은 인간의 심성(心性)을 사단(四端)으로 설명한 것이다. 심학(心學)을 하려는 사람이 더욱 삼가고 신중해야 할 것을 당부하는 내용의 글이다.

「농정형률군제천도통론(農政刑律軍制天道統論)」은 관료의 폐단을 시정하고, 백성의 후생(厚生)에 힘써야 할 것을 역설한 글이다. 부록 가운데 「연파기」는 정의림(鄭義林)과 강의형(姜義馨)이 지은 것이다. 저자를 연꽃의 군자다움에 빗대어 기리는 글이다.

의의와 평가

문집 전반에 걸쳐 농민에 대한 애정과 깊은 관심이 드러나 있고, 한편으로는 동학란의 배경 등도 살필 수 있어 참고 자료가 된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