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주도 ()

목차
고대사
인물
남북국시대 발해의 남해부도독, 검교공부상서 등을 역임한 관리.
이칭
이칭
열주의(列周義)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남해부도독(南海府都督)|검교공부상서(檢校工部尙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발해의 남해부도독, 검교공부상서 등을 역임한 관리.
내용

발해의 유민으로, ‘열주의(列周義)’라고도 한다. 발해의 유민들이 세운 후발해에서 남해부도독(南海府都督)으로 활약하였다.

발해왕실이 붕괴된 직후에는 후당(後唐) 등에 발해사신이 계속해서 왕래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압록부 일대를 거점으로 활약하였던 대씨정권(大氏政權)인 이른바 후발해의 사신들이었다.

그는 935년 12월에 조공사신으로 후당에 다녀왔고, 그 다음해 2월에도 후당에 갔다가 검교공부상서(檢校工部尙書)의 벼슬까지 받고 돌아왔다. 이 때 같이 간 발해의 정당성공부경(政堂省工部卿) 오제현(烏濟顯)은 시광록경(試光錄卿)의 벼슬을 받았다.

이들은 중국 오대왕조에 왕래하였던 후발해의 마지막 사신들이었다. 938년에는 박승(朴昇) 등 3,000여호가 고려로 투화하였던 사실로 보아 오대의 후진(後晉, 936∼946) 초에는 열주도 일파가 대씨에 이어 정권을 잡은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이는 970년 정안국왕(定安國王) 열만화(列萬華)가 그의 이름으로 송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였던 사실도 참고가 된다. 남해부도독이라는 직함을 통하여 알 수 있는 사실은 남해부가 오늘의 함경북도 지방인 옛 발해의 남경남해부였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는 후발해의 위력이 옛 남경남해부까지 미쳤던 것을 시사하는 점이라 하겠다.

그렇다면 옛 동경용원부·중경현덕부 등 두만강 하류일대도 후발해의 위력 밑에 있었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오대회요(五代會要)』
『책부원귀(冊府元龜)』
『渤海國志長編』(金毓黻, 華文書局, 1934)
「고려(高麗)와 발해(渤海)」(이용범, 『한국사』3, 국사편찬위원회, 197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