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창 ()

목차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요나라에서 발해광복운동을 벌인 발해의 유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116년(예종 11)
출생지
발해
주요 관직
공봉관(거란)|대발해국황제
목차
정의
고려 전기에, 요나라에서 발해광복운동을 벌인 발해의 유민.
개설

발해가 붕괴되자 동단국(東丹國)의 요양(遼陽)에 강제 이주되었다. 그 뒤 요나라의 관직을 받는 등 친거란화 된 인물이었다. 요나라 말기 요나라에 반기를 들고 발해광복운동을 벌였다.

생애와 활동사항

금나라의 태조 아골타(阿骨打)가 거란군을 깨뜨리고 요동으로 남하하는 기세를 보이자, 요나라가 1115년(예종 10) 공봉관(供奉官)이었던 고영창에게 발해무용마군(渤海武勇馬軍) 2천을 모집하게 해 요양부 부근의 백초곡(白草谷)을 지키게 하였다.

이것을 계기로 1116년 정월 동경유수(東京留守: 요양부유수) 소보선(蕭保先)의 혹독한 학정에 시달리고 있던 발해유민들을 선동해 병사 8천으로 요양부를 점령하고, 국호를 ‘대발해국(大渤海國: 일명 大元)’이라 하였다.

국가의 면모를 갖춘 뒤 친거란화된 반대파를 물리치고 10여 일만에 요동부의 50여 개주를 지배하며, 막강한 위세를 과시하였다. 귀덕주(貴德州: 지금의 철령시 동남)의 요나라 수장(守將) 야율여도(耶律余賭)조차 광주(廣州: 지금의 심양 서남 창역참)에서 이 거사에 가담하게 할 정도였다.

그러나 심주(瀋州: 지금의 심양)를 사이에 두고 요나라 재상(宰相) 장림(張琳)과 소한가노(蕭韓家奴) 등이 요동에서 모병한 병사 2만을 상대로 공방전을 되풀이하면서부터는 고전하였다. 이에 금나라와 교섭을 시도하였으나 황제의 칭호를 고집하며 금나라에 양보하지 않자, 교섭이 결렬되고 오히려 요나라와 금나라의 양면공격을 받게 되었다.

5월 말 금나라의 알로(斡魯)가 이끄는 여진군에 의해 근거지인 요양부가 함락되고, 다시 남쪽 십리 지점인 수산(首山)에서 크게 패하자 기병 5천을 이끌고 장송도(長松島)로 들어갔으나, 뒤쫓아 온 금나라 군사에게 잡혀 참살되고 발해광복운동은 실패로 돌아갔다. 이 운동에 실패한 발해유민들의 일부는 고려로 망명하였다.

이 사건은 거사 후 5개월의 짧은 발해광복운동이었으나, 1029년(현종 20) 대연림(大延琳)의 흥료국(興遼國)과 1115년 2월부터 7월까지 고욕(古欲)에 의한 광복운동과 함께 한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즉, 요나라 내부의 주민구성이나 역사계승의식 속에 발해적 요소들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남아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속된 발해광복운동의 실패는 발해지역이 거란화 되는 계기로 작용하였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요사(遼史)』
「고려와 발해」(이용범, 『한국사』 4, 국사편찬위원회, 1974)
집필자
한규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