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오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자은종 현화사의 승통 상지에게 출가한 후 승계가 수좌에 오른 승려.
이칭
법명
자응(慈應), 정혜(定慧), 통소(通炤), 원증(圓證), 신해(神解), 증지(證智)
허중(虛中)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096년(숙종 1)
사망 연도
1158년(의종 12)
본관
수주(水州)
주요 관직
수좌(首座)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관오는 고려 전기 자은종 현화사의 승통 상지에게 출가한 후 승계가 수좌에 오른 승려이다. 수주최씨 최계방의 둘째 아들이며, 숙부인 현화사의 승통 상지에게 출가하였다. 천성이 엄숙하면서도 온화하였는데, 혜덕왕사 소현이 체계를 정비한 자은종을 이끌었으며, 예종·인종·의종 세 임금의 우대를 받았다.

정의
고려 전기, 자은종 현화사의 승통 상지에게 출가한 후 승계가 수좌에 오른 승려.
가계 및 인적사항

본관은 수주(水州: 현, 경기도 수원시). 자(字)는 허중(虛中). 법명은 관오(觀奧). 법호는 자응(慈應)·정혜(定慧)·통소(通炤)·원증(圓證)·신해(神解)·증지(證智)이다. 최사위(崔士威)의 현손(玄孫)이며 최계방(崔繼芳)의 둘째 아들로 천성이 엄숙하면서도 온화하였다. 관오의 묘지명과 아버지 최계방의 묘지명이 현존하고 있다.

주요 활동

1107년(예종 2) 12세에 자은종(慈恩宗) 현화사(玄化寺)승통(僧統) 상지(尙之)에게 출가하고 승통(僧統) 영찬(靈粲)에게 법을 전수받았다. 상지는 최계방의 첫째 동생으로, 관오의 숙부이다.

1108년(예종 3)에 불일사(佛日寺)에서 계를 받았고, 1113년(예종 8)에 숭교사(崇敎寺) 성복선(成福選)에 합격하였다. 1117년(예종 12)에는 봉은사(奉恩寺) 대선(大選)에 합격하여 대덕(大德)이 되었다. 승계가 수좌(首座)에까지 올랐다. 공의(共議)에 따라 월악사(月岳寺), 천흥사(天興寺: 천안), 법천사(法泉寺: 원주), 수리사(修理寺) 주지를 역임하였다. 혜덕왕사(慧德王師) 소현(韶顯)이 체계를 정비한 자은종을 이끌었고, 예종(睿宗)· 인종(仁宗)· 의종(毅宗) 세 임금의 우대를 받았다.

안성군(安城郡)에 바라밀사(波羅密寺)를 지어 임금을 축복하는 축성도량(祝聖道場)을 상설하였다. 궁핍한 사람들에게도 많이 베풀었는데, 오산원(鼇山院) 지남대로(指南大路)에서 주1을 크게 열어 지나가는 사람들, 심지어 짐을 싣거나 사람을 태우는 가축에 이르기까지 음식물을 나누어 주기도 하였다.

1158년(의종 12) 5월 21일에 나이 63세, 승랍 52세로 입적하였다.

참고문헌

원전

「증지수좌관오묘지명(證智首座觀奧墓誌銘)」
「최계방묘지명(崔繼芳墓誌銘)」

논문

남동신, 「고려 전기 금석문과 법상종」 (『불교연구』 30, 한국불교연구원, 2009)
주석
주1

굶주리는 사람들에게 곡식이나 음식 등을 나누어 주는 곳.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