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사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에, 문하시랑평장사, 태자태사, 내사령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시호
정숙(貞肅)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961년(광종 12)
사망 연도
1041년(정종 7)
본관
수주(水州, 지금의 경기도 수원)
주요 관직
형부상서|대정문별감|서경유수|태자태사|내사령
정의
고려 전기에, 문하시랑평장사, 태자태사, 내사령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수주(水州: 지금의 경기도 수원). 증조부 최서천(崔徐遷, 崔書遷)은 호장(戶長)이었고, 할아버지인 최한용(崔韓用)과 아버지 최융예(崔融乂, 崔融藝, 崔融銳)는 상경출사(上京出仕)했으나 미관에 머물렀다. 어머니는 김해부 아간(金海府阿干) 유울행(庾鬱行)의 딸이다.

이후 자손들이 잇따라 고관에 올라 고려 전기의 대표적인 문벌귀족으로 번성하다가 무신의 난을 계기로 몰락하였다. 과거를 통해 벼슬길에 오른 듯하며, 목종 때 이미 시어사(侍御史)·호부시랑(戶部侍郞) 등을 거쳐 형부상서(刑部尙書)의 지위에 올라 있었다.

생애와 활동사항

1009년(목종 12)에 김치양(金致陽)이 난을 일으켜 목종을 폐하려 했을 때, 대정문별감(大定門別監)에 임명되어 궁문을 폐쇄하고 국왕을 호위하였다. 1010년(현종 1)에 거란이 침입하자 통군사(統軍使)로서 통주(通州: 지금의 평안북도 선천)에서 거란군의 공격을 막았으나 패배하였다.

다음 해에 참지정사(參知政事)로 승진했으며, 서북면행영도통사(西北面行營都統使)와 서경유수를 거친 다음 이부상서(吏部尙書)로 옮겼다. 1012년에는 동경유수를 없애고, 경주방어사(慶州防禦使)를 둘 것과 12주(州)의 절도사를 5도호(都護)·75도안무사(道安撫使)로 대체할 것을 건의해 실행되었다.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郎平章事)와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차례로 역임하였고, 1019년에 추충좌리동덕공신 청하현개국남(推忠佐理同德功臣淸河縣開國男)으로 봉해졌다. 1021년에는 광국공신(匡國功臣)이 더해지고 개국백(開國伯)으로 작진(爵進)되었다.

관직도 검교태사 수문하시중 판상서이부사(檢校太師守門下侍中判尙書吏部事)에 올라 총재(冢宰)가 되었다. 이 때 주현의 장리(長吏: 이부의 長) 칭호를 정리하였다. 즉 군·현 이상은 호장으로, 향(鄕)·부곡(部曲)·진(津)·정(亭)·역(驛) 등에서는 장(長)으로 부르도록 하였다.

거란의 동경장군(東京將軍) 대연림(大延琳)이 반란을 일으켜 흥료국(興遼國)을 세우고 고려에 도움을 요청했을 때 국방을 강화하면서 사태를 관망하자는 신중한 태도를 취하였다.

1027년에 태자태사(太子太師)를 겸하였으며, 1031년 내사령(內史令)으로 치사(致仕)한 뒤 1041년(정종 7)에 죽었다.

1052년(문종 6) 현종묘정(顯宗廟庭)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시대 수주최씨가문분석」(박용운, 『사총』 26, 1982)
집필자
이익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