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 조선시대, 주요 강변의 요충지에 설치했던 나루.
이칭
이칭
관진(關津), 진관(津關), 도(渡)
제도/법령·제도
제정 시기
고려 전기
공포 시기
고려 전기
시행 시기
고려시대|조선시대
폐지 시기
조선 말기
시행처
고려 왕조|조선 왕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진(津)은 고려 · 조선시대 주요 강변의 요충지에 설치했던 나루이다. 진은 포(浦)와 함께 사람들이 강을 건너거나 배가 출발하는 해양 교통의 요지를 일컫는 말이다. 고려시대의 진은 단순히 배를 타고 강을 건너는 나루터가 아니라 왕명이 신속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관리나 여행자들이 강을 건널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맡은 사람들이 모여 사는 군현(郡縣)의 하부 조직이었다.

정의
고려 · 조선시대, 주요 강변의 요충지에 설치했던 나루.
제정 목적

진은 일명 관진(關津) · 진관(津關)이라고도 하였다. 이는 도(渡)라고 불리기도 하였는데, 진(津)과 도는 강폭의 넓고 좁음에 따라 구별된 듯하지만 실상은 혼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진은 원래 강을 건너는 사람들을 검색하기 위해 설치되었지만, 실제로는 명령의 전달과 강을 건너기 위한 교통 및 통신 기관의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이곳에는 관선(官船)인 진도선(津渡船: 나룻배)이 배치되어 있었는데, 사선(私船)과 수참선(水站船) 등도 이곳을 드나들었다. 진은 군현(郡縣)의 하부 조직이자 말단 행정구역이었으므로 진리(津吏)와 진척(津尺) 등이 거주하였으며, 구당(勾當)이 파견되었다.

내용

고려 초기부터 전국의 강변에는 많은 진 또는 도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 가운데 압록강변의 압록도(鴨綠渡)와 예성강변의 벽란도(碧瀾渡), 임진강변의 임진도(臨津渡) · 장단도(長湍渡)와 한강변의 조강도(祖江渡) · 낙하도(洛河渡) · 양화도(楊花渡) · 사평도(沙平渡) · 용진도(龍津渡) 등이 유명하다. 특히, 벽란도는 대외무역항으로도 이용되었다.

이들 여러 나루에는 태조 이래 진도선의 운행을 담당하는 진척(津尺)이 있었으며, 994년(성종 13)에 압록강에 구당사(勾當使)를 둔 것을 시작으로 여러 나루에 구당사가 파견되었다. 구당사는 큰 강 또는 섬과 육지를 잇는 나루에 파견되어 도강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각 진에는 운영 경비의 조달을 위해 진전(津田)이 분급(分給)되었으며, 진척에게는 위전(位田)이 지급되었다.

조선의 개국과 함께 한강변에는 기존의 진 이외에 노량진(鷺梁津) · 흑석진(黑石津) · 공암진(孔巖津) · 도미진(度米津) · 광진(廣津) · 삼전도(三田渡) 등의 많은 나루가 추가로 설치되었다. 그 가운데 한강도(漢江渡: 이전의 沙平渡) · 노량진 · 낙하도 · 삼전도 · 양화도 등의 대도(大渡)에는 종9품의 도승(渡丞) 1인을 두어 각 진의 운영과 관리를 맡도록 하였다. 이곳에는 아록전(衙祿田)으로서의 도전(渡田)이 8결(結)씩 분급되었으며, 진부(津夫)에게는 약 1결의 진부전(津夫田)이 주어졌다.

변천사항

고려 후기에 이르러 한강변 진 · 도의 관리는 병조 예하(隷下)의 각 군영(軍營)으로 이관(移)되었고, 도승(渡丞) 대신 군영의 별장(別將)이 파견되어 그 운영을 책임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속록(大典續錄)』
『대전회통(大典會通)』
『삼봉집(三峰集)』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단행본

한우근 외, 『역주 경국대전: 주석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유승원, 『조선 초기 신분제 연구』(을유문화사, 1987)
한정훈, 『고려시대 교통운수사 연구』(혜안, 2013)
문경호, 『고려시대 조운제도 연구』(혜안, 2014)

논문

이현종, 「경강진도선에 대하여」(『향토서울』 27,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