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인량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고금록』, 『수이전』 등을 저술한 문신.
이칭
대천(代天)
시호
문열(文烈)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096년(숙종 1)
본관
평산(平山)
주요 저서
고금록, 수이전
주요 관직
우복야, 참지정사
관련 사건
거란의 압록강 동안 점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박인량은 고려 전기에 『고금록』, 『수이전』 등을 저술한 문신이다. 개국공신인 박수경의 현손(玄孫)이다. 문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문한의 여러 벼슬을 거쳤다. 그가 저술한 천독(天牘)·표(表)·장(狀)·시 등은 동행하였던 김근의 시문과 함께 『소화집』이라는 이름으로 송에서 간행되어 중국에까지 그 문명을 날리었다.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정의
고려 전기, 『고금록』, 『수이전』 등을 저술한 문신.
가계 및 인적사항

박인량(朴寅亮)의 본관은 평산(平山)이고, 자(字)는 대천(代天)이며, 고려 개국공신인 박수경(朴守卿)의 현손(玄孫)이다. 자식으로 박경인(朴景仁)· 박경백(朴景伯)· 박경산(朴景山) 그리고 광제승통(廣濟僧統) 박총서(朴聰諝) 등 8인이 있다. 아들 박경인 등이 급제하여 높은 관직에 오름으로써 고려 전기 명문가의 위치를 확고히 하였다.

주요 활동

문종(文宗) 때 과거에 급제하여 문한(文翰)의 여러 벼슬을 거쳤다. 문장이 우아하고 수려하다는 평가를 받았는데, 송과 요에 보내는 고주(告奏)·표장(表狀) 등이 모두 그의 손에서 나왔다.

일찍이 거란이 압록강 동쪽 지역에 야심을 가지고 강을 건너와서 동안(東岸)에다 보주(保州: 현, 평안북도 의주)를 설치하여 고려에서 여러 차례 반환을 요청해도 듣지 않다가, 1075년(문종 29) 박인량이 지은 진정표(陳情表)가 요주(遼主)를 감동시켜 철거하게 되었다.

우부승선(右副承宣)을 거쳐 1080년(문종 34)에는 예부시랑으로서 호부상서 유홍(柳洪)과 함께 송나라에서 약재를 보내준 데 대한 사은사로 갔는데, 저장[浙江]에 이르러 태풍을 만나 대부분의 방물(方物)을 잃은 죄로 귀국한 뒤 죄를 받을 뻔하기도 하였다.

1083년(문종 37)에 시강학사(侍講學士)로 동지공거(同知貢擧)가 되어 진사시(進士試)를 주관하여, 음정(陰鼎) 등을 선발하였다.

1089년(선종 6)에는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事)에 오르고, 이어 우복야(右僕射)를 거쳐 참지정사(參知政事)를 지냈다.

1095년(숙종 1)에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참지정사로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박인량이 저술한 천독(天牘)·표(表)·장(狀)·시 등은 동행하였던 김근(金覲)의 시문과 함께 『소화집(小華集)』이라는 이름으로 송에서 간행되어 중국에까지 그 문명을 날리었다. 저술로는 『고금록(古今錄)』 10권과 『수이전(殊異傳)』이 있다고 하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문열(文烈)이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보한집(補閑集)』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한국금석문추보(韓國金石文追補)』

단행본

김용선, 『고려묘지명집성』 (한림대출판부, 2001)
박용운, 『고려시대 음서제와 과거제연구』 (일지사, 1990)

논문

이수건, 「고려시대 ‘토성’ 연구 상」 (『아세아학보』 12, 아세아학술연구회, 197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