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이재유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위문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위문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3책. 목활자본. 1936년 6대손 계신(啓信)·계관(啓寬) 등이 편집, 계룡(啓龍)이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계신·계관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는 부(賦) 3편, 시 297수, 권3은 서(書) 18편, 서(序) 6편, 기(記) 1편, 명(銘) 2편, 잠(箴) 1편, 잡저 7편, 묘표 1편, 행장 6편, 권4는 가장·제문 각 1편, 권5는 부록으로 시 7수, 서(書) 12편, 권6·7은 사성록(思成錄) 2편, 행록 1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무극이태극론(無極而太極論)」은 동당초시(東堂初試)에 제출, 합격한 논문이다.

「전가사례(傳家四禮)」는 사대부의 의례(儀禮)와 구별한 서인(庶人)의 가례를 설명한 것이다. 옛 성인이 예를 만들 때에 서인의 예를 따로 만들지 않은 것은 패란(悖亂)의 단초를 주지 않기 위함이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서인이 대부(大夫)의 예를 따라 행하므로 그 폐단이 말할 수 없이 크다고 지적하였다. 옛 것을 참고해 시세에 맞도록 조절, 서인에게 합당한 가례를 만드니 이를 전가사례라 하였다. 사당·의복·거가의(居家儀)·관례·혼례·상례·제례 등의 예와 엄내외지변(嚴內外之辨)·무축첩잉(無畜妾媵)·무양인흔루(無揚人釁累) 등 전가십이계(傳家十二戒)를 밝히고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