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때의 이두명칭은 과채(瓜菜)이며, 『동의보감』에서는 ‘외ᄂᆞᄆᆞᆯ불휘’, 『물명고(物名考)』에서는 ‘슈발나물’, 『방약합편(方藥合編)』에서는 ‘외나말ᄲᅮ리’ 등으로 표기하였다. 이와 같이 수박풀 또는 오이풀이라고 부르는 것은 잎을 뜯어 비비면서 냄새를 맡으면 오이나 수박의 냄새를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학명은 Sanguisorba officinalis L.이다.
높이는 30∼150㎝로 근경(根莖)이 옆으로 갈라져서 자라며 방추형으로 굵어진다.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윗부분에서 갈라지고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1회우상복엽(一回羽狀複葉)으로 소엽은 5∼11개이다. 소엽은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2.5∼5㎝, 너비 1∼2.5㎝로서 삼각형의 톱니가 있다. 꽃은 검은 혈적색(血赤色)인데 7∼9월에 핀다.
뿌리는 지혈효과가 뛰어나서 장출혈·자궁출혈·치질출혈·토혈 등에 치료제로 쓰이며, 소화촉진 목적으로도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