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동궁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유적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던 조선 제13대 왕 명종의 아들인 순회세자의 궁가.
이칭
이칭
순회세자궁(順懷世子宮)
유적
건립 시기
조선 중기
관련 국가
조선
관련 인물
순회세자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옛 한성부 남서 황화방)
내용 요약

용동궁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던 조선 제13대 왕 명종의 아들인 순회세자의 궁가이다. 순회세자 사후 왕실의 내탕(內帑)을 담당하였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명례궁과 더불어 왕실 내탕 중 왕후 및 왕대비의 내탕을 마련하고 관리하였다. 1907년(융희 1) 궁방 관리인인 도장(導掌)이 폐지되고, 순종 즉위 후 모든 재산을 제실에서 관리하면서 1909년 폐지되었다.

목차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던 조선 제13대 왕 명종의 아들인 순회세자의 궁가.
건립경위

용동궁(龍洞宮)이 언제 건립되었는지 명확히 알 수 없다. 1864년(고종 1)에 작성된 『 대동지지(大東地志)』와 『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 궁궐조에 “서부 황화방에 있으며 세상에 전하기를, 순회세자(順懷世子)의 옛날 궁이라고 하지만 잘 알 수 없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용동궁이 순회세자의 옛 궁이라는 설(說)이 있지만,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등에는 이에 대한 기록이 전혀 없다.

변천

용동궁에 대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은 모두 왕실 소용의 주1을 수급하고 관리하는 것에서 빚어지는 문제를 다루고 있다. 용동궁의 내탕 소속에 관해서는 숙종 연간에 중궁(中宮), 영조 연간에는 왕대비, 정조 연간에는 주2으로 기록하고 있어 주3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동조(東朝) 소용의 내탕을 관리했음을 알 수 있다.

용동궁과 같은 기능을 했던 명례궁은 본래 명례방에 있던 인목왕후의 본궁이었으나, 임진왜란 이후에 정릉동으로 옮겨 대한제국기까지 존재했었다.

특징

용동궁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 덕수궁 내에 있었다. 이곳의 조선시대 행정구역은 한성부 남서(南署) 황화방(皇華坊)이다. 조선 제13대 왕인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의 주4이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확하지 않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명례궁과 더불어 왕실 내탕 중 왕후 및 왕대비의 내탕을 마련하고 관리하였다.

1743년(영조 19)에는 용동궁의 대문이 대정동(大貞洞)으로 나 있으며 명례궁과는 서로 가까웠다고 한다. 시기는 알 수 없지만 후대에 중부(中部) 수진방(壽進坊)으로 옮겨졌다. 1907년(융희 1) 궁방 관리인인 도장(導掌)이 폐지되고, 순종 즉위 후 모든 재산을 제실에서 관리하다가 폐지되었다. 해당 터에는 숙명여학교가 세워졌다.

참고문헌

원전

『궁궐지(宮闕志)』
『대동지지(大東地志)』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攷)』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한경지략(漢京識略)』

논문

박혜정, 조재모, 「조선후기 사의당의 위치와 건축적 특징에 대한 추론」(『건축역사연구』 26권 2호, 한국건축역사학회, 2017)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왕실의 재물을 넣어 두던 창고.    우리말샘

주2

왕세자가 왕위에 오르기 전에 죽고 왕세손이 즉위하였을 때, 죽은 왕세자의 빈(嬪)을 이르던 말.    우리말샘

주3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궁궐. 본래는 행궁(行宮)이었으나 선조 26년(1593)에 의주에서 환도한 후 보수하여 궁궐로 삼았다. 지금 남아 있는 건물은 중화전, 함녕전, 석조전 등이며 정문으로 대한문이 있다. 칠궁의 하나이다. 사적 정식 명칭은 ‘덕수궁’이다.    우리말샘

주4

조선 시대에, 왕실의 일부인 궁실(宮室)과 왕실에서 분가하여 독립한 대원군ㆍ왕자군ㆍ공주ㆍ옹주가 살던 집을 통틀어 이르던 말.    우리말샘

집필자
정정남(㈜건축문헌고고스튜디오 대표)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