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권 2책. 목활자본. 1897년 후손 형대(亨大)·헌대(憲大)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조술도(趙述道)의 서문과 권말에 김도행(金道行)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고려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168수, 권3에 부(賦)·소(疏)·서(書)·서(序) 각 1편, 기(記) 3편, 명(銘) 1편, 잡저 4편, 상량문 1편, 축문 3편, 제문 12편, 권4에 부록으로 만사 15편, 제문·행장·묘갈명·유사 각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 중 「의응지소(擬應旨疏)」는 의작(擬作)으로, 당시의 시폐를 지적하고 그 구제방안을 말한 글이다. 각 도에 향약을 만들어 매월 선악을 평론함으로써 상벌을 명시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혼상상조계첩서(婚喪相助稧帖序)」는 영양의 청계(淸溪)마을에서 1654년(효종 5)에 만든 혼상상조계의 계첩에 쓴 서문이다. 잡저 가운데 「영산서당강회시제생(英山書堂講會示諸生)」은 저자가 영산서당을 세워놓고 제자들을 가르칠 때 제자들의 권학을 위하여 쓴 글이다.
학문하는 것을 농사짓는 일에 비유하여 농부가 농기를 놓치지 않고 부지런히 농사일을 해내듯이, 뜻을 세워 학업에 열중하여야 성공한다는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