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성태후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전기, 제8대 왕 현종의 제3 왕비.
이칭
시호
원성왕후(元成王后)
인물/전통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028년(정종 19)
본관
안산(安山)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원성태후는 고려 전기 제8대 왕 현종의 제3 왕비이다. 김은부의 딸이며 이허겸의 손녀이다. 1010년(현종 1) 거란병이 침입하여 현종이 나주로 피난 가게 되었을 때 공주에 들르자 김은부가 옷과 특산물을 바쳤다. 거란병이 물러가고 돌아올 때도 다시 공주에 머물렀는데 김은부가 딸을 시켜 현종에게 옷을 지어 바쳤다. 그런 인연으로 현종의 후비가 되었다. 그녀의 자매 둘도 현종의 왕비가 되었다. 1028년(정종 19) 죽으니 시호를 원성왕후라 하고 현종의 사당에 합사하였다.

정의
고려 전기, 제8대 왕 현종의 제3 왕비.
가계 및 인적사항

성은 김씨(金氏), 본관은 안산(安山)이다. 시중(侍中)을 지낸 김은부(金殷傅)의 딸이며, 어머니는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에 추증된 이허겸(李許謙)의 딸이다.

주요 활동

1010년(현종 1)에 거란병(契丹兵)이 내침하자 왕은 나주(羅州)로 피난하게 되었다. 피난 중 공주(公州)에 도착하자 김은부는 교외까지 마중나와 맞이하였으며 옷과 지역 특산물을 바쳤다. 현종(顯宗)이 파산역(巴山驛)에 이르니 역의 아전들이 모두 도망가 식사도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 그러자 김은부가 또 밥과 반찬을 마련하여 바쳤다.

그 후 거란병이 물러가자 왕궁으로 귀환하던 중 공주에 묵게 되었다. 이때 절도사인 김은부는 왕을 영접하고, 그 딸로 하여금 어의를 지어드리게 하고, 편안히 모시게 하였다. 왕은 이를 맞아들여 연경원주(延慶院主)로 삼았다. 정종(靖宗)을 낳은 뒤 궁주(宮主)가 되고 얼마 뒤에 왕비로 봉하여졌다. 한편, 왕비의 두 자매도 함께 맞아들여 비로 삼았다. 원평왕후(元平王后), 원혜태후(元惠太后) 등이 그들이다.

세 자매가 함께 한 왕의 왕비가 된 예는 이것이 처음이며, 광종(光宗) 때 왕실 족내혼(族內婚)이 이루어진 이래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양상이다. 현종과의 사이에 덕종(德宗)·정종의 두 아들과 인평왕후(仁平王后)를 두었다.

상훈과 추모

1028년(정종 19)에 죽자 시호를 원성왕후(元成王后)라 하고 명릉(明陵)에 장사하였으며 현종 묘실에 합장하였다.

덕종 즉위 후에 왕태후로 추존하였고, 뒤에 용의(容懿)·공혜(恭惠), 1056년(문종 10)에 영목(英穆), 뒤에 양덕(良德)·신절(信節)·순성(順聖), 1140년(인종 18)에 자성(慈聖), 1253년(고종 40)에 광선(廣宣)의 시호가 거듭 추증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김갑동, 『고려 현종 연구』 (혜안, 2022)
김창현, 『고려의 여성과 문화』 (신서원, 2007)
정용숙, 『고려시대의 후비』 (민음사, 1992)
황운용, 『고려벌족에 관한 연구』 (친학사, 1978)

논문

김갑동, 「고려 현종의 혼인과 김은부」 (『한국인물사연구』 15, 한국인물사연구회, 201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