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통신지구국 ()

목차
관련 정보
보은 위성통신지구국
보은 위성통신지구국
통신
단체
정지궤도에 위치한 위성을 중계로 하여 원거리에 전송하는 통신방식에서 지상에 설치한 고정국.
내용 요약

위성통신지구국은 정지궤도에 위치한 위성을 중계로 하여 원거리에 전송하는 통신방식에서 지상에 설치한 고정국이다. 1968년 대서양 상공과 1969년 인도양 상공에 인텔샛 3호기의 통신위성이 발사되어 전 세계에 송수신할 수 있는 상용 위성통신망이 이룩되었다. 우리나라에는 케이티(옛 한국전기통신공사) 소속의 지구국이 충청남도 금산과 보은, 데이컴 소속의 지구국이 충청남도 아산에 있다. 1995년 무궁화 1호 위성이 발사되면서 우리나라는 국내용 통신위성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게 되면서 이를 위한 관제, 통신용 지구국이 용인에 세워졌다.

목차
정의
정지궤도에 위치한 위성을 중계로 하여 원거리에 전송하는 통신방식에서 지상에 설치한 고정국.
내용

이에 대응하는 위성을 위성국 또는 우주국이라 한다. 위성통신은 대륙간 국제전화와 텔레비젼방송을 중계하는 데 주로 이용되지만 최근에는 국내 장거리 통신이나 국내 방송용으로도 이용된다. 우리나라에는 케이티(옛 한국전기통신공사) 소속의 지구국(Earth Station)이 충청남도 금산과 보은, 그리고 데이컴 소속의 지구국이 충청남도 아산에 있다.

지구상의 고정된 지점간의 통신을 위한 위성통신방식은 1945년 아서 클라크(Arthur C. Clarke)가 이의 가능성을 제시한 이후 스푸트니크(Sputnik) 위성이 발사되면서 실현성이 현실로 다가왔으며, 1958년 12월 미국 공군에 의하여 세계 최초의 통신위성인 스코어(Score)가 발사되면서 시작되었다.

그 뒤 능동형 통신위성과 수동형 통신위성에 대한 실험이 계속되어 1960년 중반 능동형 통신위성에 대한 경제성이 입증되어, 1965년 4월 최초의 상용통신위성인 인텔샛(INTELSAT) 1호가 발사되면서 위성통신 방식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1968년 12월 대서양 상공과 1969년 6월 인도양 상공에 인텔샛 3호기의 통신위성이 발사되어 전 세계에 송수신할 수 있는 상용 위성통신망이 이룩되어, 각국에서는 위성통신망을 위하여 지구국의 설치에 박차를 가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60년대 후반 급증하는 국제통신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국제통신 회선의 광대역 전송로 확보계획을 수립하고, 이 계획에 의하여 위성통신방식의 도입에 의한 광대역통신망화를 추진하였다. 1967년 2월 국제통신위성기구(INTELSAT)에 가입하고 위성통신지구국의 건설을 추진하여, 1970년 6월 충청남도 금산에 제1위성통신지국을 개통하였다. 이 지구국은 태평양 지역 통신위성인 인텔샛 3호에 접속하여 태평양 연안국가와의 국제통신망을 위성통신으로 대체할 수 있게 하였다.

1977년 9월 인도양 통신위성을 이용한 제2지구국이, 금산의 제1지구국의 옆에 건설되었다. 우리나라는 양 지구국을 한 위치에 건설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국가이다. 예컨대 일본은 태평양에 치우쳐 있어 양 지구국은 별도의 위치에 건설되어야 한다.

1980년대 들어서면서 급격한 기술발전으로 통신위성의 대용량화 · 고성능화가 이룩되어 1982년 10월 제4위성통신지구국을 충청북도 보은에 건설하기로 하고 1983년 9월 착공, 1985년 1월 준공하였다. 1990년대 들어 한국통신 이외 다른 국제전화 사업자들이 등장하면서 금산이나 보은 이외 다른 지역에 지구국 건설이 이루어졌다. 데이컴의 아산지구국, 온세통신의 지구국 등이 있다.

아산위성지국국은 충청남도 아산시 송악면에 있는 위성지구국이다. 위성통신을 이용, 국제전화, 국제간 데이터 및 영상 전송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데이콤(DACOM, 현 엘지유플러스)에 의하여 1991년 5월 건설되었다. 지름 21m의 카세그레인 안테나 2기와 고출력증폭기, 저잡음수신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구국은 지구 적도 3만5860km의 정지궤도에 떠있는 태평양위성과 인도양위성 등 2개 통신위성과 연결, 국제전송업무를 제공하고 있다. 국제전용회선 서비스는 모든 전송로가 완전 디지털화되어 있다.

한편, 1995년 무궁화 1호 위성이 발사되면서 우리 나라는 국내용 통신위성을 자체적으로 보유하게 되고 이를 위한 관제, 통신용 지구국이 용인에 세워졌다. 이러한 지구국들은 인텔샛을 이용한 지구국과는 달리 위성의 자세를 제어하거나 궤도를 수정하는 기능을 가진 관제기능이 추가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구국의 이름도 위성관제소라 한다.

참고문헌

『한국전기통신100년사』(체신부,1985)
『정보통신』1(한국통신학회, 198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진용옥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