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헌문집 ()

위헌문집
위헌문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도신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8년에 간행한 시문집.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도신여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8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68년(고종 5) 도신여의 6세손 도석기(都碩基)가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박명섭(朴命燮)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정지순(鄭之純)·도석기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1책. 목판본.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시 25수, 부(賦) 2수, 소 1편, 서(書) 4편, 잡저 6편, 제문 2편, 묘지 4편, 권2에 부록으로 제현신장(諸賢贐章)·제현서독(諸賢書牘)·만(挽)·제문·가장(家狀)·행장·묘갈명·묘지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의 「의례소(議禮疏)」는 1660년(현종 1) 자의대비의 상복문제를 논한 것으로, 송시열(宋時烈) 등이 주장한 기년설을 반대하고 예경(禮經)에 근거하여 삼년복을 주장하였다. 서(書)도 당시 예송(禮訟)에 관하여 허목(許穆)·조경(趙絅)·윤휴(尹鑴) 등에게 보낸 것들로 참고자료가 된다. 잡저 중 「문임관(問任官)」은 임금이 현능한 사람을 등용할 것을 주장한 글이다.

서(序) 중 「금호선유록후서(琴湖船遊錄後序)」는 1601년(선조 34) 서사원·장현광(張顯光)·여대로(呂大老)·김극명(金克銘) 등이 금호에서 선유한 기록의 서문이고, 「용담향약서(龍潭鄕約序)」는 1656년 용담현령으로 부임하여 향약을 창설하고 이에 쓴 서문이다. 제문에는 1657년 전라도병마절도사 배시량(裵時亮)에 대한 것이 있다.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