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악남용사건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사건
조선 숙종 연간에 정권이 남인(南人)에게서 서인(西人)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정치적 사건.
이칭
이칭
경신환국
목차
정의
조선 숙종 연간에 정권이 남인(南人)에게서 서인(西人)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한 정치적 사건.
내용

선조 연간에 비롯된 조선의 붕당정치현종대의 예송논쟁(禮訟論爭)을 거치면서 서인남인의 대립으로 격화되었다.

1674년(현종 15)의 제2차 예송논쟁에서 서인의 주장을 누른 남인은 숙종 초년에 대거 정계에 진출하면서 정국을 주도하였다. 그러나 그들 사이에 자체 대립이 일어나 주1과 맞서는 주2이 권력을 집중시키자 숙종은 그들을 견제할 필요를 느끼게 되었다. 이 시기 서인들도 집권을 위한 노력을 계속 기울이고 있었다.

그러던 중 1680년(숙종 6) 3월 탁남의 영수인 허적(許積)이 조부 허잠(許潛)시호를 받게 되어 많은 인사를 불러 연회를 베풀던 중 돌연 큰 비를 만나는 일이 일어났다. 왕은 궁중의 주3을 허적에게 보내어 비를 피하게 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이미 허적의 요구로 내주었다는 보고를 받게 되었다.

허적의 방자함에 노한 숙종은 훈련대장을 유혁연(柳赫然)에서 주4인 총융사 김만기(金萬基)를 거쳐 신여철(申汝哲)로 교체하였다. 그리고 철원에 유배되어 있던 서인의 중심 인물 김수항(金壽恒)을 방면하였으며, 탁남계의 이조판서 이원정(李元禎)주5주6의 벌에 처하였다. 수일 후에는 허적의 서자인 허견(許堅)인평대군(麟平大君)의 아들인 복창군 정(福昌君楨)과 통해 역모하였다는 주7이 들어옴으로써 남인은 조정에서 거의 완전히 축출되고 서인이 정권을 잡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을 경신대출척이라고 하는데, 이때부터 반대파 인물을 사사하는 등 붕당간의 대립이 극단적으로 전개되었다. 유악남용사건은 남인 세력이 물러나는 과정에서 나타난 하나의 표면적 계기에 불과하였다. 그러나 사소하고 우연적인 요소를 과장해 조선시대의 정치사를 부정일변도로 평가하던 과거에는 과도하게 강조되었다.

참고문헌

『숙종실록(肅宗實錄)』
「숙종초기(肅宗初期)의 정치구조(政治構造)와 환국(換局)」(홍순민, 『한국사론』15, 서울대학교, 1986)
「조선후기(朝鮮後期) 붕당론(朋黨論)의 전개(展開)와 그 성격(性格)」(정만조, 『조선후기 당쟁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남인(南人) 가운데 허목(許穆)을 영수로 한 분파. 숙종 때 복제(服制) 문제로 세력을 잡은 뒤 서인의 죄를 엄하게 다루자고 주장하였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남인(南人) 가운데 허적을 중심으로 한 분파. 숙종 때 남인이 정권을 잡은 뒤 서인의 우두머리인 송시열의 죄를 논할 때에 온건한 입장에 서 있었다. 우리말샘

주3

천막에 기름칠을 하여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만든 것

주4

나라를 위하여 드러나게 세운 공로가 있는 임금의 친척. 우리말샘

주5

죄를 지은 자의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벼슬아치의 명부에서 그 이름을 지우던 일.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죄지은 사람의 관작(官爵)을 빼앗고 도성(都城) 밖으로 추방하던 형벌. 우리말샘

주7

갑작스러운 재앙이나 사고 따위를 알림. 우리말샘

집필자
오수창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