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진 ()

이기진 초상
이기진 초상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홍주목사, 평안도관찰사,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군범(君範)
목곡(牧谷)
시호
문헌(文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87년(숙종 13)
사망 연도
1755년(영조 31)
본관
덕수(德水: 지금의 경기도 개풍)
주요 관직
판의금부사|이조판서|홍주목사|평안도관찰사|판돈녕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홍주목사, 평안도관찰사, 판돈녕부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군범(君範). 호는 목곡(牧谷). 이식(李植)의 증손이며, 할아버지는 이신하(李紳夏)이다. 아버지는 양구현감 이당(李簹)이며, 어머니는 박원개(朴元開)의 딸이다. 큰아버지인 삼척부사 이번(李蕃)에게 입양되었다. 권상하(權尙夏)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17년(숙종 43)에 진사가 되었다. 같은 해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예문관·홍문관에서 재직하였다. 1721년(경종 1) 헌납으로 있을 때, 왕세제(王世弟)로 책봉된 연잉군(延仍君: 뒤의 영조)에 대해 나쁜 말을 퍼뜨린 유봉휘(柳鳳輝)의 처벌을 주장하다가 신임옥사 때 파직되었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곧 등용되어 홍문관교리가 되었다. 이듬해 시독관(侍讀官)이 되어 신임옥사를 일으킨 소론에 대한 논죄를 철저히 하여, 그 시비를 명백히 밝힐 것을 극언해 한때 영조의 노여움을 사기도 하였다. 1725년(영조 1) 승지를 지내고, 이조참의를 거쳤다. 1727년에 부제학 등을 역임하고 강화부 유수가 되었다.

그러나 왕세자의 관례 때 봉전문(封箋文)을 빠뜨린 사건으로 파면당했다. 그 뒤 향리에서 머물렀다. 1728년 이인좌(李麟佐) 등 소론 일파가 밀풍군 이탄(密豊君 李坦: 소현세자의 嫡孫)을 추대하고 반란을 일으키자, 급히 상경해 대사성에 임명되었다. 이 반란이 평정되자 다시 고향으로 내려가 있다가 1729년 다시금 직책을 맡았다.

함경도관찰사를 지내고, 이어 언관으로서 최고직인 대사간을 지냈으며, 경상도관찰사·형조판서·경기도관찰사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741년에 판의금부사·이조판서를 지냈다. 1744년 홍주목사를 거쳐 이듬 해 경기도관찰사·판의금부사를 지냈다.

이어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749년에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51년 광주부유수로 「한봉도(汗峰圖)」를 지어 올렸고, 판돈녕부사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저서로는 『목곡집』이 있다.

참고문헌

『경종실록(景宗實錄)』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훈호집(熏湖集)』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