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준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전기 의성현령, 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이칭
중균(仲鈞)
용재(慵齋), 용헌(慵軒), 부휴자(浮休子), 상우당(尙友堂), 태정일민(太庭逸民), 장육거사(藏六居士)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58년경
사망 연도
1499년(연산군 5)
본관
경주(慶州)
출생지
안동
주요 관직
의성현령|사헌부지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전기 의성현령, 사헌부지평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중균(仲鈞), 호는 용재(慵齋)·용헌(慵軒)·부휴자(浮休子)·상우당(尙友堂)·태정일민(太庭逸民)·장육거사(藏六居士). 안동 출신. 이만실(李蔓實)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대사헌 이승직(李繩直)이고, 아버지는 이시민(李時敏)이며, 어머니는 현감 권계경(權啓經)의 딸이다. 동생은 이홍준(李弘準)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485년(성종 16) 별시 문과에 급제하였고, 의성현령으로 있으면서 「경상도지도」를 만들었다. 1493년에 사헌부지평이 되었으며, 서장관(書狀官)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풍류로 명성이 있어 일본호송관 또는 북평사(北評事) 등의 직책에 임명되었고, 의정부사인에 이르렀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문인으로 몰려서 함경도 부령으로 귀양가는 도중에 단천군 마곡역을 지나다가, 송나라 이사중(李師中)이 바른말 하다 귀양가는 당개(唐介)를 송별하면서 지은 시 한 수를 써놓고 갔는데, 함경도관찰사 이승건(李承健)이 이는 나라를 비방하고 왕을 기롱(譏弄: 헐뜯고 농간함)한 것이라고 조정에 고하였다.

마침내 연산군은 그가 원망하는 뜻을 가졌다 하여 서울로 압송, 국문 도중 죽었다. 홍귀달(洪貴達)이 그를 구하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부제학으로 추증되었고, 안동의 경광서원(鏡光書院)·백록리사(栢麓里祠)에 제향되었다.

저술활동

문집으로는 『용재유고(慵齋遺稿)』가 있고, 의서로는 『산림경제(山林經濟)』등에 인용된 『신선태을자금단방(神仙太乙紫金丹方)』이 있다. 현재 장식화풍으로 그려진 「송학도(松鶴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점이 그의 전칭작품으로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용재유고(慵齋遺稿)』
『허암유집(虛庵遺集)』
『이평사집(李評事集)』
『점필재집(佔畢齋集)』
『해동잡록(海東雜錄)』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