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균 ()

동전유고
동전유고
유교
인물
조선후기 『동전잠사유고』를 저술한 학자.
이칭
국경(國卿)
동전잠사(東田潛士)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1년(철종 12)
사망 연도
1933년
본관
진성(眞城)
출생지
미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동전잠사유고』를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국경(國卿), 호는 동전잠사(東田潛士). 아버지는 이만창(李晩昌)이며, 어머니는 구산박씨(龜山朴氏)로 박계조(朴啓祖)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83년(고종 20) 방경응제시(邦慶應製試)에 합격하였다. 스승 없이 독학으로 공부하여 30세에 성균관에 유학하였는데, 당시 종유하던 이남규(李南圭)·이병칠(李炳七)·오상필(吳相弼) 등과 학문을 강론하였다. 1893년 성균관에 월과(月課)가 설치되었을 때 왕명으로 성균관에 들어갔다.

갑오경장 이후 향리로 돌아갔으며, 1910년 경술국치 이후부터는 어떠한 일에도 기뻐하는 기색을 보이는 일이 없었으므로 사람들은 “이진사가 웃으면 석불도 웃는다.”는 말을 하였다고 한다. 저서로는 『동전잠사유고(東田潛士遺稿)』 15권이 있다.

참고문헌

『동전잠사유고(東田潛士遺稿)』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