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앞면 3칸, 옆면 2칸의 단층건물로,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장곡사는 신라 말에 보조국사(普照國師) 체징(體澄, 804∼880)이 창건하였는데, 그 뒤 사역(寺域)이 변화하여 지금은 위아래 2곳으로 나뉘어져 있다.
건물은 약간 높은 기단(基壇) 위에 자리하고 있다. 둥근 자연석 주춧돌 위에 가운데부분이 볼록한 배흘림 기둥을 세운 뒤 주심포(柱心包)계 양식으로 가구(架構)를 결구(結構)하였다. 곧 기둥 위에 대접받침처럼 생긴 주두(柱頭)를 놓고서 그 위로 포작(包作)을 꾸몄다. 다만 기둥과 기둥 사이에는 창방(昌枋)을 건 뒤, 그 가운데에 주두를 놓고서 주간포(柱間包)를 각각 1조씩 꾸몄기에, 주심포와 다포(多包) 양식을 섞은 것으로도 보인다. 특히 굽받침을 둔 곡주두(曲柱頭)와 첨차의 모습은 우리나라 주심포계 건물에서 볼 수 있는 고식(古式)을 나타내고 있지만, 첨차(檐遮)에 직각으로 건 쇠서[牛舌] 위에 연꽃이 조각된 모습과 건물 안의 보를 보강하려고 댄 보아지[樑奉]의 모습은 조선 중기 이후의 수법을 나타내고 있다. 건물 몸채의 가구는 건립 이후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붕의 가구는 대들보 위에 짧은 기둥인 동자주(童子柱)를 세워서 종보와 종도리를 받친 모습이다. 특히 동자주 위에는 중도리의 사이에 뜬장여를 두었고, 그 사이는 초새김한 받침인 화반(花盤)으로 꾸며 놓았다. 천장은 후대에 수리하면서 우물천장으로 만들었지만, 다시 수리하여 연등천장으로 바꾼 상태이다.
건물의 앞면에는 가운데칸에 빗살 무늬의 3분합문(分閤門)이 달렸고, 좌우의 협간(夾間)에는 ‘정(井)’자형 격자살 무늬의 4분합문이 달려 있으며, 나머지 3면은 모두 석회를 반죽하여 바른 회벽(灰壁)으로 처리되었다. 건물 안의 바닥에는 네모난 벽돌이 깔려 있는데, 그 중에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연꽃 무늬 벽돌도 섞여 있다.
건물 안에는 뒤쪽 가운데와오른쪽에 통일신라시대에 제작된 석조대좌(石造臺座) 2기가 자리하고 있으며, 대좌 위에는 역시 같은 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철불(鐵佛) 2구가 각각 모셔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