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암유집 ()

목차
관련 정보
장암집
장암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무신, 나덕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무신, 나덕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3책. 목활자본. 1924년 8대손 기한(淇漢)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복한(金福漢)·기한의 서문이, 권말에 이병수(李炳壽)의 발문이 있다. 이 책의 체재는 특이하여 저자의 저술과 부록의 구분이 없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서울대학교 도서관·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전문 4편, 권2에 북행일기(北行日記), 권3에 통어영록(統禦營錄), 권4∼7은 부록으로 행장·시장(諡狀)·묘갈명·전류(傳類)·만장·증시사적(贈諡事蹟)·건사사적(建祠事蹟)·충렬사상량문(忠烈祠上樑文)·변무사적(辯誣事蹟)·기문·유사·포증사적(褒贈事蹟)·기발류(記跋類)·호남절의록(湖南節義錄)·삼강문기(三綱門記)·연보 등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끝에 반계공장록(潘溪公狀錄)·영암공장록(靈巖公狀錄)·열부언양김씨행록(烈婦彦陽金氏行錄)이 붙어 있다.

「북행일기」는 춘신사(春信使)로서 1636년(인조 14) 2월 9일에 청나라 심양(瀋陽)으로 출발하면서 적은 것이다. 「통어영록」에는 병자호란 때 삼도통어사(三道統禦使)로 있으면서 제반사실을 기록한 공문서인 전지(傳旨)·교서(敎書)·도임장계(到任狀啓)·진장포폄장계(鎭將褒貶狀啓) 등이 수록되어 있다.

부록에는 저자가 이괄(李适)의 난 때 활약한 모습, 그리고 청나라에 가서 국서를 받아가지고 왔다가 논핵을 당한 일을 적은 「변무사적」, 그 뒤 시호를 얻고 충렬사를 세워 봉안한 사실들을 기록한 글이 다수 수록되어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