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목사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시대 목장을 관장하고 전마(戰馬) · 역마(驛馬) · 역우(役牛) 등을 조달하던 관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시대 목장을 관장하고 전마(戰馬) · 역마(驛馬) · 역우(役牛) 등을 조달하던 관청.
개설

성종 때 설치된 것으로 추정되며, 문종 때 관제가 정비되었다. 판사는 성재(省宰), 사는 2인으로 추밀(樞密) 및 상서(尙書)가 겸직하게 하고, 부사는 정4품 이상으로 2인, 판관은 참상(參上)으로 2인, 녹사(錄事)는 을과권무(乙科權務)로 4인을 두었다. 이속(吏屬)은 기관(記官) 2인, 기사(記事) 2인, 서자(書者) 2인으로 하였다.

내용

전목사의 하부조직은 전국에 설치된 목장을 단위로 이루어졌다. 1025년(현종 16)에 목감(牧監 : 牧監直)과 노자(奴子)를 배치하고, 노자 1인은 청초절(靑草節 : 5∼9월)에 대마(大馬) 4필을 길러 새끼를 생산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각 목장에는 장교·군인 등 간수군(看守軍)을 배치해 목장을 경비하게 하였다. 목감직은 권무직(權務職)으로, 노자를 지휘, 감독해 목장관리를 맡았다. 노자의 역(役)은 고역으로 신분은 자손에까지 세습되었다.

『고려사』 병지(兵志)에 용양(龍驤)·농서(隴西)·은천(銀川)·양란(羊欄)·좌목(左牧)·회인(懷仁)·상자원(常慈院)·엽호현(葉戶峴)·강음(江陰)·동주(東州) 등 10개의 목장이 있었다. 그러나 『고려사』 세가(世家) 및 『고려사절요』를 보면 전국에 많은 목장이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신라시대에 목장이 약 170여 개소, 그리고 조선시대에도 목장이 약 160여 개소 있었던 것이 밝혀져 있어, 고려시대에도 이와 비슷한 수의 목장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 초기에는 좌목·양란·강음 등 3개의 목장이 어마목장(御馬牧場)으로 유명하였다. 충렬왕 이후에는 탐라목장(耽羅牧場)이 세워져 명마가 산출되었는데, 원나라·명나라에까지 알려졌다.

전목사가 1308년(충선왕 즉위년) 사복시에 병합되면서 목장도 사복시의 관할로 되었다. 1367년(공민왕 16)부터는 노자를 목자(牧子)로 부르게 되었다. 이들의 신분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신량역천(身良役賤)에 속하였다. 그리고 간수군은 목마군(牧馬軍)으로, 목감직은 감목관(監牧官)으로 개편되었다.

전목사는 소와 말을 길러 군사·교통·외교 및 농경용으로 공급하는 일과 과학적인 「축우마료식(畜牛馬料式)」을 제정, 확립해 조선시대에까지 본보기가 되었다.

1025년에 말에게 주는 사료를 계절에 따라 종류와 공급량에 차이를 두어, 황초절에는 하루 한 필의 말에 법말(法末) 3승, 실두(實豆) 3승을, 청초절에는 두말(豆末) 3승을 먹이도록 하였다.

1159년(의종 13)에는 「제목감장축마료식(諸牧監場畜馬料式)」을 제정해 소·말 등 사육동물의 종류, 계절의 차이에 따라 사료의 품종과 양에 차이를 두고 소·말 1필이 1일에 소요하는 사료량을 결정하였다.

또한, 전목사는 관마보(官馬寶)·수의박사(獸醫博士) 등을 두어 우마종(牛馬種) 개량에 힘써 12종의 말과 3종의 소 및 낙타를 생산하기도 하였다.

의의와 평가

전목사는 비록 축마료식으로 국가예산을 합리화했으나 운영의 재정적인 부담으로 말미암아 사회문제를 가져왔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목장지도(牧場地圖)」(국립중앙도서관장본)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제주도목장(濟州島牧場)」(남도영, 『한국사연구(韓國史硏究)』 4, 1969)
「한국목장제도고(韓國牧場制度考)」(남도영, 『동국사학(東國史學)』 11, 1969)
「전목사(典牧司)에 대하여」(남도영, 『역사학보(歷史學報)』 30, 1966)
「고려시대(高麗時代)의 마정(馬政)」(남도영, 『불교사학논총(佛敎史學論叢)』, 1965)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