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고성리 산성 ( )

건축
유적
국가유산
6세기 이후, 신라의 영향을 받아 축조한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고성리 마을에 위치한 고대 산성. 도기념물.
유적
건립 시기
6세기 이후 신라
관련 국가
신라
둘레
670m
소재지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고성리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정선고성리산성(旌善古城里山城)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성/성곽
지정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종목
강원특별자치도 시도기념물(1994년 09월 23일 지정)
소재지
강원 정선군 신동읍 고성리 산319번지 외 3필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정선 고성리 산성(旌善 古城里 山城)은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고성리 마을에 있는 테뫼식 산성이다. 산성의 둘레는 약 670m이다. 이 산성은 토축 구간과 석축 구간을 교대로 축조한 독특한 축조 방식을 보여준다. 산성에서는 개(蓋), 1단이나 2단 투창의 대각편, 파상문이나 반원점문이 시문된 토기편 등 대체로 5~6세기 경의 신라 토기들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유물과 축성법으로 보아 이 산성은 6세기 이후 신라의 영향을 받아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정의
6세기 이후, 신라의 영향을 받아 축조한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고성리 마을에 위치한 고대 산성. 도기념물.
형태와 특징

정선 고성리 산성(旌善 古城里 山城)은 해발 450m의 산 정상 부근을 둘러싼 테뫼식 산성이다. 산성의 둘레는 약 670m이다. 이 산성은 영월-정선-강릉과 삼척, 평창-태백-안동으로 통하는 교통의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남쪽의 배후 산지에서 북쪽으로 내려오는 능선의 돌출한 봉우리에 산성이 있으며, 그 아래로는 남한강이 흐른다.

발굴경위 및 결과

정선 고성리 산성은 4개의 토축(土築) 구간과 4개의 석축 구간이 교대로 축조된 산성이다. 고성리 산성의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인 산성의 구조와는 다른 독특한 형태이다. 2004년 1토축성과 1석축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 이 산성의 축조 기법을 알 수 있게 되었다.

1토축성은 둘레 108m로 이 산성의 성곽에서 가장 긴 구간에 해당한다. 1토축성의 규모는 너비 66.5m, 높이 2.33m 정도이다. 토축성은 기반암 위에 1015cm 정도의 두께로 목탄과 점토를 깔고, 점토와 석회암을 이용해 2.6m 정도의 높이로 판축한 '토석 혼축 기법'을 사용하여 만들었다. 토축성의 외벽 기저부는 점토층 위에 길이 2050cm 정도의 석회암제 판석을 쌓았는데, 경사면에 계단식으로 6~7단을 맞물리게 들여쌓기를 하였다. 또한 너비 2m의 석렬을 만들어 토성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1석축성은 이 산성의 석축성 가운데 길이가 가장 짧다. 산 정상부의 지형에 맞춰 꺽이는 부분을 직각에 가깝게 조성했는데, 그 구간에 1석축성이 축조되었다. 축조 기법은 1토축성과 마찬가지로 기반암인 석회암을 굴착한 후에 점토와 쇄석(碎石)층을 깔고 다져서 수평을 맞추었다. 성돌은 길이 30cm, 두께 10cm 내외의 석회암제 판석을 사용했으며, 가로 방향으로 수평쌓기를 하였다. 체성(体城)은 8단인 1.1m까지는 거의 수직으로 쌓았으며, 그 위쪽으로는 들여쌓기를 하였다. 사용한 석재의 크기가 정연하지 않아 그 사이에 생긴 틈은 작은 쐐기돌을 끼우고 점토로 메웠다. 석축 구간에서는 구간을 구획한 구획선이 보인다. 또한 구간에 따라 협축(夾築)과 편축 기법을 섞어서 사용하였다. 남쪽의 방비가 취약한 곳에는 치성(雉城)을 쌓아 성의 방비를 보완하였으며, 기단을 보축(補築)하였다. 조사 결과 1석축성은 토축성을 먼저 축조한 이후 나중에 석축성으로 개축한 것으로 밝혀졌다.

산성 내부에서는 집수시설 1개소, 추정 문지 1개소, 추정 건물지 1개소, 용도 미상의 석렬 등이 확인되었다. 집수지의 길이는 7,1m, 너비는 6m 정도이며, 집수지 내부에 대한 조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산성에서 출토된 유물은 대부분 토기류와 기와류이며, 소량의 철기류와 석기류가 확인되었다. 출토된 토기 가운데 대각도치형 꼭지가 부착된 개(蓋), 1단이나 2단 투창의 대각편, 파상문이나 반원점문이 새겨진 토기편들은 대체로 5~6세기 경주 중심 신라 토기의 범주에 속하는 것들이다. 기와는 점토띠흔이 확인되는 비교적 옛날 양식에 속하는 기와편들이 확인되었다. 이 기와편들은 포목(枹木)을 대신해 갈대나 지푸라기를 사용해 만들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또한 원통의 기와통을 사용하지 않고 특이하게 무와통 기법으로 기와를 만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의의 및 평가

출토된 유물들을 통해서 정선 고성리 산성은 대략 6세기 이후 신라의 영향을 받아 축조한 산성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산성은 강원도 지방에서 확인된 성곽 가운데 가장 오래된 성곽 유적의 하나이다. 또한 토축성과 석축성의 축조와 관련하여 성곽의 발달 과정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강원문화재연구소, 『旌善 古城里山城』(2006)
충북대학교 호서문화연구소, 『정선 고성리 산성과 송계리 산성 및 고분군』(1997)

논문

강릉대학교 박물관, 「정선군의 관방유적」(『정선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정선군 · 강릉대학교 박물관, 1996)
김선주, 「정선 고성리산성 축성방법 고찰」(『강원사학』 25, 2011)
홍영호, 「신라의 하슬라 경영 연구」(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