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산성 ()

건축
유적
국가유산
고려 후기 이후,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산 33번지와 김천시 남면 오봉리, 칠곡군 북삼면 지경리에 걸쳐 축조한 산성.
유적
건립 시기
고려시대
관련 국가
고려, 조선
관련 인물
정방준(鄭邦俊)
둘레
9,880.87m
소재지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산 33번지, 김천시 남면 오봉리, 칠곡군 북삼면 지경리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시도기념물(1986년 12월 11일 지정)
소재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오산성(金娛山城)은 대부분 경상북도 구미시에 속해 있고, 남쪽의 성벽은 경상북도 칠곡군, 서쪽의 성벽은 경상북도 김천시에 속해 있다. 내성은 해발 976.5m 현월봉의 금오산 정상부를 감싸면서 퇴뫼식으로 축조하였고, 외성은 정상부에서 북쪽으로 흐르는 계곡을 낀 능선에 포곡식으로 축조하였다. 성벽의 둘레는 내성 5,510.75m, 외성 4,370.12m로 총 9,880.87m이다.

정의
고려 후기 이후, 경상북도 구미시 남통동 산 33번지와 김천시 남면 오봉리, 칠곡군 북삼면 지경리에 걸쳐 축조한 산성.
연혁

금오산성의 초축 연대는 문헌상으로 알 수 없다. 그러나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고려 말에는 인동, 개령, 성주의 백성들이 왜구의 침입을 피하여 성 안에 들어와 사는 자가 매우 많았으며 병사를 징발하여 성을 지키게 하였고, 조선 초에는 여기에 군창(軍倉)도 있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 후기에는 이미 성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조선 전기인 1410년(태종 10)과 1413년(태종 13)에 성을 수축(修築)한 기록이 있다. 금오산성은 임진왜란 때 인동의 천생산성과 더불어 영남 지역의 요충지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였다. 정유재란 때는 산성이 왜적의 손에 들어가 많은 피해를 입었다.

1606년(선조 39)에 금오산성의 내성을 대대적으로 수축하였다. 금오산성 수성장이자 산성 수축 당시 감동관(監董官)이었던 정방준(鄭邦俊)이 쓴 「축성금오시일기(築城金烏時日記)」가 있어 당시 금오산성의 수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있다. 1606년(선조 39) 4월 1일 승군(僧軍)을 주축으로 벌목을 시작하여 금산 · 선산 · 지례 · 상주 · 고령 · 용궁 · 예천 · 합천 · 거창 등 9개 고을의 군일꾼들이 금오산성을 쌓는 일에 동원되었으며, 1606년 10월 23일 성이 완성되었다. 성을 쌓기 위해 먼저 벌목과 정지(整地) 작업을 한 뒤, 산성의 제일 중요한 요소인 물을 확보하기 위해 제언(堤堰)과 , 우물을 만들었다. 이어 창고나 군기고 등을 마련하였고, 그 위에 성곽의 몸체를 본격적으로 쌓았으며, 포루(鋪樓), 문루(門樓) 등을 정비했다. 이렇게 금오산성을 수축하는 데 대략 7개월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었다. 수축 당시 왜성(倭城)의 모양과 같이 산성의 외면은 높고 가파르게 만들고 내면은 평탄하게 만들었다. 또한 이전에 놓였던 잡석(雜石)을 제거하고 대석을 놓았는데, 이는 여장(女牆, 女墻) 안에 말이 달리거나 많은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발굴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1639년(인조 17) 경상감사 이병진의 건의로 금오산성의 외성이 축조되었다. 선산군수 이각(李恪)이 외성의 축조를 담당하였다. 당시 축조한 외성은 둘레 4,135척, 높이 14척으로 개령, 금산, 지례 지역의 군량과 병기를 비축하였다. 1735년(영조 11) 선산부는 우병사영 관하의 독진(獨鎭)으로 승격되었고, 선산도호부사가 금오산성 별장을 겸임하였다. 이때 금오산성진의 병력은 3,500명에 이르렀다.

발굴 경위 및 결과

금오산성 지표 조사 결과 북문, 남문, 서문, 중문 등 성문 4개소가 확인되었으며, 일부는 협축식(夾築式)으로 쌓았고 경사면은 편축식으로 축조하였다. 북문은 홍예식(虹霓式, 虹蜺式) 누문(樓門)으로 복원해 ‘대혜문(大惠門)’이란 현판을 걸었다. 내성의 성안마을 입구에는 1866년(고종 3) 병인양요 이후 유비무환의 자세로 국방을 지키기 위해 산성을 고쳐 쌓은 기록이 담긴 ‘금오산성중수송공비(金烏山城重修頌功碑)’가 남아 있다.

참고문헌

원전

『태종실록』
『세종실록』
『선조실록』
『인조실록』
『고종실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경상도속찬지리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대동지지』
『일선지(一善志)』

단행본

김호종 외, 『금오산성: 정밀지표조사 및 종합정비계획』(동국문화재연구원, 2016)
구미문화원, 『금오산성 축성일지』(1996)
구미시·안동대학교, 『금오산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1994)
윤용진, 『금오산성 기초조사보고서』(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경상북도 구미시, 1985)

논문

엄민형, 「임진왜란시기 수성전과 축성기술변천연구」(강원대학교석사논문, 2019)
장필기, 「임진왜란 직후 축성역 동원체계의 한 형태–금오산성 수성장 정방준의 축성일기를 중심으로-」(『고문서연구』 25호, 200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