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경 ()

정운경차첩
정운경차첩
근대사
인물
개항기 제천에서 유인석의 호좌의병진의 전군장으로 활동한 의병장.
이칭
화백(和百)
송운(松雲)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1년(철종 12)
사망 연도
1939년
본관
영일(迎日)
출생지
충청북도 제천
정의
개항기 제천에서 유인석의 호좌의병진의 전군장으로 활동한 의병장.
개설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화백(和百), 호는 송운(松雲). 충청북도 제천 출신. 정철(鄭澈)의 후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일찍이 숙부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여러 차례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거듭 실패하였다.

1876년(고종 13) 문호개방 이후 시세를 한탄하며 영춘(永春)에 우거하였으며, 1894년 동학접주 전봉준(全琫準)이 동학농민운동을 일으키자 각처에 통문을 보내고 동학도 4명을 죽이는 한편 고을 동학접소를 소각하였다.

1895년 미우라[三浦梧樓]가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살해하고 뒤이어 단발령을 반포하여 상투를 자르자, 유인석(柳麟錫)과 더불어 제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유인석의 호좌의병진(湖左義兵陣)의 전군장으로 항일전선에서 활약하였다.

특히 1896년 4월 13일 호좌의병진이 제천에서 장기렴(張基濂)이 이끈 관군과의 전투에서 패한 뒤 전세가 크게 기울어졌다. 그리고 일제의 군사력이 증강되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유인석의 지시를 받고 청나라의 위안스카이[袁世凱]를 만나 원군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유인석이 호좌의병진을 해산하고 간도로 망명한 이후, 유인석을 따라 여러 차례 간도를 다녀왔으며, 향리에 은거하면서 김호연(金昊淵)·이회승(李會升) 등과 함께 향약을 실시하여 흩어진 기강을 바로잡고 민중의 항일정신 고취에 전념하였다.

1905년 일제가 을사조약을 강요하며 침략상을 노골화시키자, 그 해 가을 이규석(李圭錫)·김홍경(金鴻卿)·강수명(姜秀明)·지원영(池源永)·김지현(金知鉉)·정해훈(鄭解薰) 등과 함께 의병 300∼400명을 소모한 뒤 단양에서 재차 의병을 일으켜 항일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일제의 수비대에게 잡혀 그 해 11월 평리원(平理院)에서 15년 유배선고를 받고 유배생활을 하였다.

상훈과 추모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유공자공훈록』1(국가보훈처, 1986)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김후경·신재홍, 한국민족운동연구소, 1971)
『독립운동사』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독립운동사자료집』(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