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계는 초기 고생대 캄브리아기에서 오르도비스기 중엽에 한반도에 퇴적된 해성층이다. 1907년 일본인 이노우에가 조선층이라고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조선계는 주로 북한의 평안남도 평양·성천·고원 부근, 황해도 황주 부근에 발달하였다. 남한은 강원도 삼척·영월·정선 등 태백산 지역에 비교적 넓게 발달되었다. 그밖에 충청북도 단양, 경상북도 문경, 평안북도 강계 등지에 소규모로 산재한다. 조선계는 주로 두꺼운 석회암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는 규암과 셰일로 이루어졌고 상부가 석회암 위주이다. 이 지층이 분포한 곳에 시멘트공업이 발달한다.
1907년에 일본인 이노우에(井上禧之助)가 평안남도 · 황해도 및 강원도 지역에 넓게 발달된 규암 · 점판암 및 석회암으로 된 두꺼운 층을 조선층이라고 명명한 데서 유래되었다. 당시 이노우에의 조선층 속에는 선캄브리아 후기의 상원계가 포함되었으나 1919년 지질 조사소는 규암과 셰일(shale)로 된 하부를 양덕통(陽德統), 석회암을 주로 하는 상부를 대석회암통으로 구분하였다. 나카무라(中村新太郎, 1926)는 조선층 범위 내에서 선캄브리아에 해당되는 지층을 상원계로 명명하여 이를 분리하였다.
이로써 현재 사용되는 조선계 또는 조선누층군의 범위가 설정되었다. 조선계는 주로 북한의 평안남도의 평양 · 성천 · 고원 부근, 황해도 황주 부근과 남한의 강원도 삼척 · 영월 · 정선 · 평창 등 태백산 지역에 비교적 넓게 발달된다. 또한 충청북도 단양과 경상북도 문경 지역, 북한의 압록강 연안인 평안북도 강계 · 초산 · 위원 등지에 소규모로 산재, 분포한다.
주로 두꺼운 석회암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의 규암과 셰일로 된 양덕통의 두께는 100∼500m이고, 상부의 석회암을 주로 한 대석회암통의 두께는 1,200m에 달한다. 이 지층이 분포한 곳에 시멘트공업이 발달한다.
양덕통은 처음 양덕군 북부에 있는 조선층 하부에 붙여진 지층명으로서 현재의 상원층군에 해당하는 부분이었다. 이것이 상원계로 명명됨에 따라 양덕통이라는 명칭은 설 자리를 잃게 되었고, 지금은 새로이 조선계 하부의 지층명으로 재정의되어 사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상원계 명명자는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양덕통 대신에 중화통(中和統)이라는 새 층명을 제안하였다(中村, 1936).
평양탄전의 양덕통은 문산리층 하부의 셰일로 시작되며 캄브리아기 초기의 삼엽충 화석을 포함한다. 이곳을 제외하면 셰일로 시작되는 곳이 없다. 남한에서는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을 부정합으로 덮는 기저역암으로 시작되는 곳이 많다.
문산리규암층과 장산규암층은 담색의 규암으로 되어 있는데, 삼척탄전 동부에서는 담색 규암 대신 암회색의 면산층(조립 내지 세립규암이며 티탄철석을 포함함.)으로 되어 있다. 이는 색깔로 인하여 묘봉층으로 오인되어왔다. 면산층은 장산규암층에 대비되지만 퇴적 환경이 다른 곳에 생긴 지층이다. 묘봉층(또는 묘봉셰일층)은 암회색의 슬레이트로 되어 있으며 삼엽충이 발견된다.
대석회암통 또는 대석회암층군은 평양 부근에서는 초산통과 만달통으로 2분 되어 있고, 강원도 삼척탄전에서는 8개 층으로 세분되어 있다. 강원속(江原束)은 조선계에 대하여 새로 제안된 지층명이다. 최근 계(系)와 통(統)에 대한 시간적 · 층서적인 의미를 중시하게 되어 암석 · 층서적인 것과 엄격히 구별하려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속(束, synthem)은 큰 부정합면 사이에 끼어 있는 지층으로서, 아래 위의 지층의 지질시대가 엄밀하게 따져지지 않는 지층의 단위이다.
대석회암통을 시대별로 나누면 캄브리아기의 초산통과 오르도비스기의 만달통으로 구분되나, 남한에서는 각각 3층 및 5층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 중 대기층 · 화절층 · 두무동층 · 막골층 · 두위봉층은 석회암을 주로 하는 지층이고, 세송셰일층과 직운산층은 셰일로 되어 있다. 대석회암층군에서는 삼엽충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바다 화석이 산출된다. 두위봉층은 삼척탄전에서 석탄기의 홍점통(紅店統)에 의하여 평행부정합으로 덮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