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충 ()

문정공 조충 지석
문정공 조충 지석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 후기에, 정당문학, 수태위 동중서문하시랑평장사 수국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이칭
담약(湛若), 문정(文正)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171년(명종 1)
사망 연도
1220년(고종 7)
본관
횡성(橫城)
출생지
개성
주요 관직
내시|대사성 한림학사|서북면원수|정당문학| 수태위 동중서문하시랑평장사 수국사
관련 사건
거란유종의 침입|형제맹약
정의
고려 후기에, 정당문학, 수태위 동중서문하시랑평장사 수국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횡천(橫川: 현재의 강원도 횡성군)이며, 자는 담약(湛若)이다. 태보(太保)인 조정신(趙正臣)의 증손이고, 각문지후(閣門祗侯) 조시언(趙時彦)의 손자이며, 시중(侍中) 조영인(趙永仁)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직사관(直史館) 윤자고(尹子固)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음서(蔭敍)로 벼슬에 올라 태학(太學)에 들어가 공부하였고, 1190년(명종 20) 급제하여 내시(內侍)에 임명되었다. 1209년(희종 5)에 국자좨주(國子祭酒), 1211년에는 대사성 한림학사(大司成 翰林學士)로서 동지공거(同知貢擧)를 겸임하였다.

이후 동북면 병마사 · 주1를 거쳐 1216년(고종 3)에는 문 · 무를 겸비했다고 하여 추밀부사 한림학사승지(樞密副使翰林學士承旨)로서 상장군(上將軍)을 겸임하는 등 최충헌 정권에 순응하며 관직에 나아갔다.

그 해에 몽고군에게 압박당한 거란유종(契丹遺種: 僞遼國人)이 고려 북방에 침입하였다. 그러자 참지정사(參知政事) 정숙첨(鄭叔瞻)이 행영중군원수(行營中軍元帥)가 되었는데, 그 휘하의 부원수로 임명되어 경도(京都) 사람 가운데 종군 가능자와 승군(僧軍)을 모아 출정하였다.

이듬해 주3 정방보(鄭邦輔)로 원수가 교체된 뒤 염주(鹽州)에서 적병을 물리쳤으나, 안주 태조탄(太祖灘)까지 추격했다가 패배하여 파직되었다. 그리고 얼마 되지 않아 여진족의 황기자군(黃旗子軍)이 압록강을 건너 인주(麟州) · 용주(龍州) · 정주(靜州) 등지의 경계 내에 침입하자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되어 이를 대파(大破)하고, 그 공으로 파면 이전의 관작으로 복직되었다.

1218년에 수사공 상서좌복야(守司空尙書左僕射)가 되어 개경으로 돌아왔으나, 거란족의 침입이 날로 심해지고 관군이 유약해 복속시키지 못하자, 다시 서북면원수가 되어 김취려(金就礪) · 정통보(鄭通寶) 등을 인솔하고 출정하여 거란군을 대파하였다. 이에 거란군이 주4에 들어가 웅거하게 되었다.

이듬해 2월 몽고 · 주5 군대와 연합해 강동성을 공격하여 거란군의 항복을 받아냈다. 강동성전투가 종결되자 몽고군 원수인 합진(哈眞)과 형제맹약(兄弟盟約)을 맺었다. 그 내용은 고려가 매년 일정한 시기에 일정한 장소에서 몽고에 주6을 납부한다는 것이었다.

형제맹약의 체결은 당시 집권자였던 최충헌의 의사와는 반대되는 것이었으나, 조충이 나라의 안위를 위하여 이를 지지하였던 추밀원부사 최우(崔瑀)와 대몽화의론자들의 뜻을 받들어 이루어진 것이다.

조충은 개선하여 정당문학(政堂文學) 주8에 오르고, 곧이어 수태위 동중서문하시랑평장사 수국사(守太尉同中書門下侍郎平章事修國史)가 더해졌다.

조충이 세상을 떠나자 개부의동삼사(開府儀同三司) 주7이 추증되었고, 고종의 묘정(廟庭)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동문선(東文選)』
「조충의 대몽교섭과 그 정치적 의미」(정선용, 『진단학보』93, 2002)
「북방의 적을 제압한 조충」(장문평, 『군사』12,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1986)
「몽고·고려의 형제맹약의 성격」(고병익, 『백산학보』6, 1969;『동아교섭사의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1970)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둔 예부(禮部)의 으뜸 벼슬. 우리말샘

주3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이품 벼슬. 문종 때 정하였으며 뒤에 지첨의부사로 고쳤다가 다시 지도첨의사, 지문하부사 등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4

고려 시대에, 평양 동쪽, 지금의 강동에 있던 성(城). 고종 6년(1219)에 고려, 몽고, 동진의 연합군이 거란의 침략군을 무찌른 곳으로 유명하다. 우리말샘

주5

금나라의 요동 선무사(遼東宣撫使) 포선만노가 간도(間島) 지방에 세운 대진(大眞)이 두만강 유역으로 쫓겨오면서 불리게 된 이름. 19년 만에 몽고의 세력에 밀려 멸망하였다. 우리말샘

주6

해마다 지방에서 나라에 바치던 공물(貢物). 우리말샘

주7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의 종일품 으뜸 벼슬. 성종 1년(982)에 처음으로 두고 문종 때 정원 및 품계를 정하였으며, 충렬왕 1년(1275)에 첨의중찬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8

고려 시대에 둔, 상서예부의 으뜸 벼슬. 재신(宰臣)이 겸하였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학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