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수법(寸數法)을 따져 정확하게 말하면, 자신으로부터 2촌인 형제의 자녀, 즉 3촌관계에 있는 한 세대 아래의 남자를 일컫는 친족 명칭 혹은 호칭이다.
출가한 여자가 남자형제의 자녀를 명칭할 때는 친정조카라고 하기도 한다. 그리고 출생순위가 가장 앞선 조카를 특별히 장조카라고 일컫기도 한다.
그러나 친족의 범주에 속하는 성원들 중에서 한 세대 아래에 속하는 모든 사람들을 일컫는 친족 호칭 혹은 친족 명칭으로 조카, 혹은 ‘조카뻘’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넓은 의미의 조카로 호칭되거나 명칭되는 친족성원을 보면, ① 남자형제의 아들, ② 남자형제의 딸, ③ 여자형제의 아들, ④ 여자형제의 딸, ⑤ 아버지의 남자형제의 아들의 아들, ⑥ 아버지의 남자형제의 아들의 딸, ⑦ 아버지의 아버지의 남자형제의 아들의 아들의 아들, ⑧ 아버지의 아버지의 남자형제의 아들의 아들의 딸 등 숱하게 많다.
이와 같은 친족성원을 조카, 혹은 조카뻘로 명칭하거나 호칭하지만 친족 용어의 체계 중에서 명칭이 분화 발달되어 ①을 조카로 명칭하고, ②는 질녀(姪女), ③을 생질(甥姪: 남자가 여자형제의 아들을 일컫는 말), 이질(姨姪: 여자가 여자형제의 아들을 일컫는 말), ④를 생질녀 · 이질녀, ⑤를 종질(從姪), ⑥을 종질녀, ⑦을 재종질(再從姪), ⑧을 재종질녀라고 명칭한다.
이 밖에도 삼종질 · 삼종질녀 · 종생질 · 종생질녀 · 종이질 · 종이질녀 등 부계(父系)와 모계(母系) · 처계(妻系)의 9촌 이내에서 한 세대 아래의 성원은 조카라는 친족 용어와 더불어 종자명제(從子明制)의 친족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조카라는 친족 용어는 한세대 아래의 친족 성원을 구분하기 위하여 파생한 것이며, 그 세대 내에서도 직계의 남자는 좁은 의미의 조카이고, 그 밖의 방계는 종자명제에 의하여 친족 명칭이 마련되어 있으나, 일반적으로 조카 혹은 조카뻘로 명칭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친족 용어 가운데에서 친족 명칭은 대단히 발달하였지만 상대적으로 친족 호칭은 그렇지 못하다. 친족 호칭 가운데에서도 특히 같은 세대나 아랫 세대의 친족 호칭은 더욱 미분화되어 있다. 그래서 한 세대 아래의 친족 성원을 통칭하여 조카라고 하거나 미혼인 경우 이름을, 기혼의 여자는 ‘○○실이’ 등으로 호칭하는 것이 고작이다.
조카의 범주 중에서 부계로 재종질까지는 당내친(堂內親)의 성원이기 때문에 조카라고 호칭하거나 명칭하는 자가 죽었을 때 상복을 입는 친족이기 때문에 친족 성원의 구실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리고 이들은 양자제도에 있어서 그들의 입양대상이 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