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수 ()

목차
관련 정보
가족
개념
족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된 숫자체계를 가리키는 가족용어.
내용 요약

촌수는 족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된 숫자 체계를 가리킨다. 촌수는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를 한 마디〔寸〕로 간주하여 계산한다. 즉, 나와 부모 사이는 한 마디로 1촌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친족 호칭으로서의 촌수 중 가장 먼 거리가 8촌인 점은 조상 제사와 관계가 있다. 고조제사까지 4대봉사를 하는 8촌까지의 친족원들은 제사를 계기로 빈번한 접촉을 유지한다. 하지만 이 범위를 넘어서면 접촉의 기회도 줄어들어 더 이상 촌수를 따지지 않게 된다.

목차
정의
족간의 멀고 가까움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안된 숫자체계를 가리키는 가족용어.
내용

촌(寸)은 주1의 한자이고, 우리말로는 ‘마디’를 뜻하는 말이며, 촌수로써 친족호칭을 대신하기도 한다. 어떤 문화에서나 친족호칭은 그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의 친족성원들을 분류하는 방식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세계의 다양한 친족호칭체계들 중에서도 우리나라와 같이 친족성원을 촌수로 따지고, 그것을 친족호칭으로도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발견하기가 어렵다. 우리의 촌수는 어느 친척이 나와 어떤 거리에 있는지를 명확하게 말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어느 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우리 고유의 제도이다.

이런 촌수로 따지면 논리적으로는 아무리 먼 친족이라도 그 주2의 정도를 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우리의 촌수제도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확실하게는 알 수 없다. 기록상으로는 12세기 고려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그리고 조선시대의 『경국대전』주6를 4촌형제로, 주3을 5촌숙으로 기록한 것을 볼 수 있다.

왜 ‘촌’이라고 하였는지에 관하여서도 자세히는 알 수 없고, ‘촌’이 우리말의 ‘마디’이므로, 예컨대 대의 마디를 의미한 것이 주4을 표시하는 데 전용되었을 것으로 이해하고 있는 정도이다. 촌수는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사이의 관계를 한 마디〔寸〕로 간주하여 계산한다. 즉, 나와 부모 사이는 한 마디로 1촌 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촌수는 반드시 부모 자식간의 관계로 따지기 때문에, 나의 형제 · 자매는 나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라 같은 부모의 자식이기에 나와 관계지어 졌다는 점에서 나와 부모간의 1촌과 부모로부터 나의 형제 · 자매까지의 ‘1촌’을 합하여 ‘2촌’관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식으로 아버지의 형제는 사실상 할아버지의 또다른 아들이기에, 아버지까지의 1촌과 거기서 할아버지까지의 1촌, 그리고 할아버지에서 큰아버지(또는 작은아버지)까지의 1촌을 모두 합하면 아버지의 형제는 나와 ‘3촌관계’에 있는 셈이다. 3촌의 자녀들은 나의 4촌들이고 그들의 자녀들은 나의 5촌 조카들이다.

이와 같이 촌수는 아무리 먼 친척이라도 적용될 수 있겠지만, 이런 친소의 정도를 표시하는 촌수가 친족호칭으로 대용되고 있는 것은 대체로 3촌 · 4촌 · 5촌 · 6촌 · 7촌, 그리고 8촌에 국한되어 있는 것 같다.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로 연결고리를 추적하기 때문에 그 중 짝수는 모두 나와 같은 항렬의 사람들(4촌 · 6촌 · 8촌 등)이고, 홀수는 모두 나의 윗항렬 아니면 아랫항렬의 사람들(3촌 · 5촌아저씨 또는 5촌조카 · 7촌 등)이다.

일상생활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친족호칭으로서의 촌수 중 가장 먼 거리에 있는 것이 8촌인 점은 조상제사의 관습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즉, 가정에서 지내는 조상제사는 고조까지의 주5를 원칙으로 하였다. 같은 고조의 자손으로 나의 세대에 있는 8촌까지의 친족원들은 조상제사를 계기로 빈번한 접촉을 유지하지만, 이 범위를 넘어 혈연관계가 더 멀어지면 접촉의 기회도 줄어들고 대체로 더 이상 촌수를 따지지도 않게 된다.

비록 이 촌수가 친소관계의 척도로서는 효과적이지만, 이것이 어느 세대에 속하는 어떤 관계의 사람인지를 분명히 해주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촌수가 친족호칭으로 사용되는 예는 위에서와 같이 극히 한정되어 있다.

그 대신에 우리의 친족호칭에서는 조 · 숙 · 형 · 질 · 손 등의 세대를 표시하는 호칭과 종 · 재종 · 삼종 등의 친소의 정도를 표시하는 접두어의 조합으로 다양한 호칭이 발달되었지만, 이 모두가 중국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이런 중국의 영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우리 고유의 것으로 개발된 것이 바로 촌수라 하겠다.

참고문헌

『조선가족제도연구』(김두헌, 을유문화사, 1949)
『한국가족연구』(최재석, 민중서관, 1966)
『한국의 친족용어』(최재석, 민음사, 1988)
주석
주1

변수의 성질 또는 특성을 평가하거나 측정하는 방법. 우리말샘

주2

친함과 친하지 아니함. 우리말샘

주3

아버지의 사촌 형제. 우리말샘

주4

친족 관계의 가까운 정도를 나타내는 등급. ‘촌’과 같은 뜻의 법률 용어로, 부모와 자식은 1친등, 형제간은 2친등으로 한다. 우리말샘

주5

고조ㆍ증조ㆍ조부ㆍ아버지의 사대 신주(神主)를 집안 사당에 모시는 일. 우리말샘

주6

사촌 관계인 형과 아우. 우리말샘

집필자
이문웅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