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삼촌 ()

목차
관련 정보
가족
개념
어머니의 남자형제들을 가리키는 친족용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외삼촌은 어머니의 남자 형제들을 가리킨다. 외숙, 외숙부, 외숙님, 아저씨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부모의 형제를 ‘삼촌’이라고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친족제도는 부계 중심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서, 호칭상 어머니쪽의 친족에 ‘외(外)-’라는 접두어를 붙여서 구분한다. 어머니쪽과 친족 관계에 있는 ‘외척(外戚)’은 곧 본인이 소속하고 있는 ‘내 집단’ 밖에 존재하는 사람들로 인식하게 되었다. 현대에 와서는 부계 친족 집단의 소속감이 약화되고, 외가쪽의 친척들과 접촉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친족집단 ‘바깥’에 존재하는 사람이라는 관념도 약화되고 있다.

목차
정의
어머니의 남자형제들을 가리키는 친족용어.
내용

일반적으로 부모의 형제를 ‘삼촌’이라고 하지만,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친족제도는 철저한 부계 중심을 특징으로 하고 있어서 아버지쪽의 친족과 어머니쪽의 친족을 호칭상 구분하여 후자의 경우 ‘외(外)-’라는 접두어를 붙이고 있다.

그리하여 어머니쪽과 친족관계에 있는 ‘외척(外戚)’은 아버지쪽과 연결된 부계 친족집단의 구성원들과는 친족 호칭상 구분되었고, 외척은 곧 본인이 소속하고 있는 ‘내 집단’ 밖에 존재하는 사람들로 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외삼촌을 포함하여 외척들은 모두 ‘내 조상’의 기제사(忌祭祀)에는 참여하지 않는 ‘바깥사람들’이었다.

더러는 아버지의 형제들을 어머니쪽의 ‘외삼촌’과는 구분되는 ‘내 집단’의 사람, 즉 ‘진짜’ 삼촌이라는 의미에서 ‘친삼촌’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아버지 형제들은 자신이 소속하고 있는 부계 친족집단의 구성원이기에 아버지와의 연령차, 즉 아버지의 형인지 동생인지를 호칭상으로 구분하여 각기 ‘ 큰아버지-백부’와 ‘ 작은아버지-숙부’로 부른다. 일반적으로 ‘삼촌’이라는 직접호칭을 사용할 때에는 후자인 ‘작은아버지’ 또는 ‘숙부’를 가리킬 때이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어머니쪽의 삼촌인 ‘외삼촌’의 경우에는 어머니와의 연령차, 즉 어머니의 오빠인지 남동생인지를 따지지 않은 채 모두 ‘외삼촌’이라는 같은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어머니쪽의 삼촌인 경우에는 어머니와의 연령차를 고려하지 않은 채 동일한 범주로 묶어 버리는 데에서도 우리는 부계 친족제 중심사회의 한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친삼촌인 경우에 조카는 자신이 소속하고 있는 부계 친족집단의 다음 대를 이어나갈 사람이기에 조카의 성장과정에서 특히 훈육과 관련하여 엄하게 다스려야 할 필요성도 있다.

그러나 외삼촌의 경우에는 생질과는 다른 부계 친족집단에 소속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속하고 있는 집단에서 혼인과 함께 이미 떠나간 누이의 자식들이기 때문에 생질들에게 엄하게 대할 필요도 없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외삼촌-생질 간에는 별로 부담이 없는 친근한 관계가 유지된다.

외삼촌에 대한 친족호칭은 그 밖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우선 관계지시호칭을 보면 ‘외숙(外叔) · 외숙부’ · ‘아저씨’ · ‘외숙주(外叔主)’ · ‘외숙장(外叔丈)’ · ‘표숙(表叔)’ · ‘표숙주(表叔主)’ · ‘내구(內舅) · 내구주(內舅主)’ · ‘외숙님’ · ‘비외숙(鄙外叔)’ · ‘비표숙’ · ‘위양장(渭陽丈)’ · ‘귀외숙(貴外叔)’ · ‘귀표숙’ 등이 있다.

외삼촌을 직접 면전에서 부를 때에 사용하는 직접호칭으로는 ‘외삼촌’ 외에도 ‘아저씨’ · ‘외숙부님’ 등이 있다. 이 중에서 관계지시호칭과 직접호칭 양쪽으로 다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외삼촌’과 ‘아저씨’뿐이다.

사실 생질과 외삼촌 간에는 각기 상이한 부계 친족집단에 소속하고 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친삼촌과 외삼촌의 조카에 대한 태도는 달랐던 것 같다.

즉 조카가 혹시 잘못된 행동을 한다든지, 어떤 위기에 처한다면 이것은 친삼촌에게는 자신의 집안 또는 문중에 직접적으로 관계된 일로 간주되어 조카의 일에 즉각적인 관심을 보일 것이다.

그러나 외삼촌의 경우에는 그것이 누이의 자식에 관한 일이라 정(情)은 있다고 할지라도 적어도 자신의 집안에 관한 일은 아니기에 친삼촌의 경우보다는 관심의 정도가 약하게 마련이다.

이런 점은 한국의 전래 속담에도 잘 반영되어 있다. 전통사회에서 생질과 외삼촌의 관계는 우리의 부계 친족제도의 맥락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부계 친족집단의 소속감을 강조하는 경향이 훨씬 약화되고, 아버지쪽의 친척들과 접촉하는 빈도에 못지않게 외가쪽의 친척들과 접촉하는 빈도가 증가하면서 사실 전통적인 외삼촌에 대한 관념도 변하고 있다.

그리하여 친삼촌에 못지않게 외삼촌과도 접촉이 잦아지면서 적어도 직접호칭에 있어서도 ‘외삼촌’보다는 그냥 ‘삼촌’으로 부르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생질의 입장에서 보면 외삼촌이 자신이 소속하고 있는 친족집단 ‘바깥’에 존재하는 사람이라는 관념도 점차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가족연구』(최재석, 민중서관, 1966)
『우리말 속담 큰사전』(송재선, 서문당, 1983)
『한국의 친족(親族)용어』(최재석, 민음사, 198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